밀리터리

일본의 재 침략! 정유재란

똥베이런 2016. 10. 5.
반응형

정유재란은 1597년 8월에 도요토미 정권 하 일본군이 명나라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다시 조선을 침공하여 1598년 연말까지 지속 되었던 전쟁이다 일본에서는 고요제이 천황의 연호를 따서 게이초의 역이라고 하며 정유재란의 뜻은 정유년에 다시 일어난 전쟁이라고 하여 정유재란이라고 한다 정유재란의 일본군의 성격은 임진왜란과 반대양상을 띄었다 쉽게 풀이하자면 일본군은 대부분의 성을 수성하는 방어측에서 전투를 주로 하게 되었고 조선과 명나라는 대부분 공격측에서 전투를 진행하였다


정유재란 일자 : 1597년 8월 27일 ~ 1598년 12월 16일


장소 : 조선 한반도 하삼도(전라도,충청도,경상도) 일대


결과 :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이 전부 철수함으로써 조명 연합군의 승리



정전협상 불발과 일본의 재 침략(정유재란 발발)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은 보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전세가 불리해 지자 명나라와 화친에 나섰으며 명나라도 벽제관 전투에서 패한 후 종전을 원했으므로 조선의 양해를 구하고 화친교섭이 시작 되었다 하지만 조선 왕과 관료들은 조선이 가장 많은 피해를 보았다면서 화친에 대해 반대하여 교섭에서 제외되었다 교섭이 진행되는 동안 조선 조정에서는 정규군을 재편하거나 의병부대를 정규군과 합병시키는 등 일본군과의 전투에 대비하며 주둔하고 있었고 명나라와 일본 양측의 조건 중 일본측에서 요구한 대부분이 수용되지 않았고 협상하는 과정에서 일본측은 포로가 된 조선의 두 왕자는 조선 왕실에 돌려주었고 협상이 결렬되어버리자 남해안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은 1597년에 다시 전쟁을 시작하였다



일본군의 전라도 진격 및 전라도 점령


일본 수군은 칠천량 해전에서 조선 수군을 전멸시켰고 일본 육군도 임진년 침공과는 다르게 보급로를 탄탄히 하려고 전라도를 공격 한 후 한양을 공격하기로 했으며 이순신의 백의종군과 칠천량 해전을 기회삼아 남해안의 대 부분의 제해권을 장악하였고  남원성과 전주성을 함락하여 전라도를 점령하고 충청도 직산까지 진격하여 조명 연합군과 대치하기에 이른다



직산 전투와 명량 해전 


남원성과 전주성을 함락한 일본 육군은 전라도를 점령하고 충청도 직산까지 진격했으며 이후 직산에서 조명연합군과 대치하여 몇 차례 전투를 했지만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귀하여 조선수군이 명량해전에서 일본수군을 대파시키자 보급선이 끊길 것을 우려한 일본 육군은 직산을 끝으로 더는 진격하지 못하고 조명연합군과 대치하기에 이른다



울산왜성 전투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복귀로 조명연합군과 일본 육군의 입장이 바뀌어버리는데 일본측은 수성을 조명연합군은 공격을 하는 형태로 입장이 바껴 버렸다 1597년 12월 말에서 1598년 1월 초에 걸쳐서 조명연합군은 울산왜성을 공격하였으나 함락 시키지 못하였고 일본 육군은 군량이 극심하게 부족한 상태였기 때문에 필사적으로 수성했다는 것이 대부분의 예측이며 1598년 9월 말부터 10월 초에 걸쳐서 조명연합군은 일본군에게 함락 당한 성을 위주로 공성전을 펼치게 되는데 대부분의 공성에서 실패하여 조명연합군 또한 일본군과 지속적으로 대치하는 상황이었다



일본군의 철수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전쟁 도중 일본 본국에서 극비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했으니 일본군 전군은 본국으로 철수하라라는 명령이 떨어졌고 일본군은 일제히 본국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조명연합군 수군은 노량에서 철수하는 왜군을 쫓아 함대를 대파하여 승리했으나 전투 중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전사했고 일본군은 본국으로의 철수를 성공했는데 성공했다는 뜻은 고니시 유키나가를 포함하여 일본군의 주요 지휘관들이 무사히 본국으로 귀한했다는 뜻이라고 볼 수 있다


<랭킹월드 추천글 링크>

명나라 멸망의 원인! 만력삼대정

어설픈 일본의 쿠데타! 삼무사건

한국전쟁 이후 동북아시아에 끼친 영향들

한국전쟁에 대한 8가지 여담들

또 하나의 고려정부! 삼별초의 난


이 글이 재미있고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번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