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전쟁123 노인이 되어 한국을 다시 방문한 영국군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반응 한국전쟁 당시 국제연합의 한국전 참전이 없었다면 한국은 공산화가 되었을 것입니다. 노인이 되어 한국을 다시 방문한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반응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노인들이 대거 입국하는데 이 분들은 한국을 지켜준 영국군 한국전쟁 참전 용사분들이라고 합니다. 영국군 참전용사 한 분은 한국 인천국제공항에 입국하자마자 카메라를 보고 '임진강에 가는 거죠?'라는 말을 꺼냈다고 하는데요. 다른 영국군 참전용사는 임진강 근처에 '핀테일 브릿지(삼화교)'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며 그 곳에 다시 갈 수 있는지 기대를 하고 있다는 말을 꺼내기도 했습니다. 영국군 한국전쟁 참전용사 어르신들은 짐을 챙긴 후 대한민국 정부가 제공한 버스를 타고 숙소로 이동하게 됩니다.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달라.. 밀리터리 2018. 10. 1. 더보기 ›› 한국전쟁 참전용사인 100세 할아버지가 매일 10km씩 걷는 이유 한국전쟁 참전용사인 '루서 영거' 할아버지는 만 99세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매일 같이 10km를 걷는다고 합니다. 한국전쟁 참전용사인 100세 할아버지가 매일 10km씩 걷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루서 영거' 할아버지는 목적지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지만 조급한 마음을 참을 수 없어 매일 같이 10km를 걸어서 병원에 간다고 합니다. '루서 영거' 할아버지가 병원에 찾아가는 것은 55년 간 함께 산 아내인 '웨이벌리' 할머니가 입원해 있는 병원에 가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웨이 벌리' 할머니는 폐렴과 뇌암으로 2009년부터 병원에서 계속 투병중인 상태라고 합니다. 하지만 매일 같이 지속되는 폭염에도 할아버지는 매일 10km씩 걸어 아내를 보러 병원에 간다고 하는데요. '루서 영.. 실시간 이슈 2018. 9. 22. 더보기 ››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계획한 한국 망명정부 '뉴 코리안 플랜'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한을 강제로 침범했을 당시 국군은 순식간에 낙동강 전선으로 밀려났습니다. 그런데 국군과 미군이 낙동강에 전선을 세우고 북한군의 공격을 저지하는 동안 미국에서는 한국 망명정부 설립 계획인 '뉴 코리안 플랜'을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계획한 한국 망명정부 '뉴 코리안 플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낙동강 전선에서 북한군의 공격을 막는 동안 미국 본토에서는 낙동강 전선이 밀릴 것으로 예상하고 '뉴 코리안 플랜'을 설립했다고 합니다. 당시 '뉴 코리안 플랜' 내용으로는 부산이 점령 당하면 '뉴질랜드령 서사모아 섬'에 한국 망명 정부를 세운다였는데요. 실제로 낙동강 전선은 매일 같이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영천 방어선을 비롯한 각 종 주요 방어선이 뚤릴 위.. 밀리터리 2018. 8. 25. 더보기 ›› 한국사의 헬 게이트라고 불리는 5대 사건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는 한민족이 살아가고 있는 곳으로 한민족의 역사를 한국사라고 통칭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헬 게이트라고 불리는 5대 사건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5위 한국전쟁 1950년 6월 25일에 발생한 한국전쟁은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한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한 전쟁입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한측 전사자는 14만 명에 달하며 남, 북한을 합치면 대략 200만 명정도로 추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 북한의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은 파괴되었으며 남한의 경우 종전 후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했습니다. 4위 임진왜란, 정유재란 일본 열도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내부 불만을 잠재우고자 세력을 과시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킨 명분은 명나.. 밀리터리 2018. 7. 9. 더보기 ›› 총과 칼 대신 '지게'로 나라를 지킨 한국전쟁의 숨은영웅 '지게부대' 한국전쟁 당시 총과 칼을 들고 싸운 한국전쟁의 영웅들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총과 칼이 아닌 '지게'로 나라를 지킨 한국전쟁의 숨은영웅인 '지게부대'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한국을 지키기 위해 전투병력을 파병했습니다. 하지만 미군들은 자신들의 물자를 보급해 줄 보급부대가 절실했다고 하는데요. 미군이 전선에 보급을 가장 우려했던 것은 한반도 자체가 산지가 많고 산세가 험했기 때문에 자동차를 이용해 많은 물자를 옮길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결국 미군은 대한민국 정부에 미군의 물자를 보급 할 민간병력을 요청했다고 하는데요. 미군의 요청에 의해 대한민국 정부는 1950년 7월 26일 민간인들이 모여 만들어진 '지게부대'를 편성했.. 밀리터리 2018. 6. 19.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