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김일성38

소련(현 러시아)이 북한에 끼친 영향 3가지 소련은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협상을 통해 한반도 이북에 들어가 대리통치를 했습니다. 그리고 소련은 '김일성'을 앞세워 한반도 이북에 공산정권을 수립하려고 했는데요. 소련(현 러시아)가 북한에 끼친 영향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련은 한반도 이북에 친소련 정권을 세우기 위해 얼굴마담으로 '김일성'을 앞세워 한반도 이북의 건국위원회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소련이 본격적으로 한반도 이북에 수립 될 정권에 개입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북한의 명칭 결정 북한의 국호라고 할 수 있는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은 소련군의 소장이자 소련 제25군 정치위원이었던 '니콜라이 레베데프'가 만들었다고 합니다. 당시 북한 정권에서도 자신들의 체제를 스스로 '인민민주주의'라고 불렀다고 하는데요. 이에 '레데.. 밀리터리 2018. 5. 26.
중국군이 한국전쟁에 참전을 결정하게 된 진짜 이유 한국전쟁 당시 국제연합군이 인천에 상륙하자 전세는 역전되었고 김일성은 중국으로 도망갔지만 중공군의 참전으로 현재의 한반도를 형성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현재의 한반도 형세를 만들어 놓은 중국이 참전을 결정하게 된 진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이 한국전쟁 참전을 결정하게 된 것은 제2차 국공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한다고 합니다. 제2차 국공내전 당시 중국 공산당은 중국 국민당을 대만으로 쫓아냈고 중국 북경 천안문 광장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정부 수립을 선포했는데요.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 공산당은 김일성에게 '한국전쟁'을 일으킬 것이니 병력을 지원해달라는 요구를 받게 됩니다. 그리고 결국 북한 김일성은 소련, 중국의 지원을 받고 한반도를 적화시키기 위해 한국전쟁을 일으키는데요. 하지만 북한군.. 밀리터리 2018. 2. 8.
한국전쟁을 '6.25 반란'으로 불러야 하는 이유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전쟁은 대체적으로 '한국전쟁'이나 '6.25전쟁'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특히 외국에서는 한국전쟁을 'Korean War'라고 부르고 있다고 하는데요. 한국전쟁을 '6.25반란'으로 불러야 하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시다시피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북한 '김일성'이 일으킨 전쟁으로 소련 붕괴 이후 소련의 기밀문서로 김일성이 전쟁을 일으켰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인민군의 기습적인 공격으로 인해 발발하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국전쟁 휴전 이후 남측에서는 김일성의 본명인 '김성주의 난'으로 부르기도 했다고 합니다. 즉, '한국전쟁'은 한반도 단일정부가 세워지기 전 김일성이 한반도.. 밀리터리 2018. 2. 7.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전선까지 국군을 밀어냈던 북한군 지휘관의 최후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불법남침으로 시작 된 한국전쟁은 한민족의 5천년 역사 중에서도 가장 비극적인 역사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전선까지 국군을 밀어냈던 북한군 지휘관의 최후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전쟁 발발 초기 국군을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시킨 장본인은 '김광협'이라는 북한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라고 합니다. '김광협'이라는 인물은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써 일제강점기 시절 만주에서 활동하던 인물이라고도 하는데요. '김광협'은 일제강점기 시절 김일성이 이끌던 빨치산인 '동북항일연군' 소속의 지휘관으로 '동북항일연군'의 정치위원으로 활동했다고 합니다. 해방 이후 '김광협'은 동북항일연군 소속으로 한반도로 귀국하여 북한 인민군 3사단의 직위를 지냈다고 합니다. 또한 '김광협'은 전쟁 준비가 .. 카테고리 없음 2018. 2. 3.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소련이 북한을 외면한 이유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국제연합(UN)이 북한의 불법침략으로 간주하고 UN군 주재로 한반도에 병력을 파병했습니다. 국제연합군이 인천에 상륙하자 국군과 유엔군은 총반격을 실시하여 북진통일을 앞두고 있었는데요. 1950년 국제연합군과 국군의 총반격이 실시되자 소련이 북한을 외면한 이유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50년 9월 15일 국제연합군 총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는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기 위해 인천에 상륙을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인천상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국제연합군은 서울을 비롯한 주요도시들을 수복하였습니다. 그리고 국제연합군은 서울을 비롯한 남한측의 주요도시들을 수복하자 이 기세를 몰아 한반도를 완전히 통일하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무서운 기세로 국제연합군과 국군은 평양을.. 밀리터리 2018. 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