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차세계대전84

2차대전 당시 1,000명의 일본군이 악어에게 전멸당한 전투 1945년 2월 19일 영국군은 미얀마의 람리 섬을 점령하기 위해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본군은 영국군에 의해 전멸 당한 것이 아닌 악어떼에게 공격을 당해 전멸을 당했다고 하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1,000명의 일본군이 악어에게 전멸당한 전투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45년 2월 19일 영국 해병대는 람리 섬에 상륙한 후 일본군의 거점을 포위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람리 섬에 주둔하던 일본군 1천 명은 영국군이 진지를 포위하자 주둔지를 버리고 섬 건너의 일본군 본대와 합류하기 위해 행군을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일본군이 진지를 버리고 행군을 한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영국 해병대는 일본군을 추격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본군은 16km에 달하는 맹그로브 늪지에 들어섰고.. 밀리터리 2018. 10. 19.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폭우 속에서 우산을 쓰지 않고 참전용사에 헌화한 이유 러시아는 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으로 대한민국, 미국 등 여러 국가들처럼 매 년 참전 용사에 대한 '추모식'을 거행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폭우 속에서 우산을 쓰지 않고 2차세계대전 참전 용사들에게 헌화를 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17년 러시아 '추모와 애도의 날'은 대한민국의 헌충일에 해당하는 날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현충일에는 대한민국 대통령과 고위직 인사들이 대거 국립 현충원에 방문해 참전용사들에 대해 헌화를 하기도 하는데요. 그런데 2017년 러시아 '추모와 애도의 날'에 찍힌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헌화 장면이 화제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2017년 '추모와 애도의 날' 당시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 고위직 인사들이 헌화를 시작하려고 하자 가늘.. 밀리터리 2018. 7. 3.
아무도 없는 무인도에 남성 32명과 여성 1명이 남게 된다면? 2차세계대전 '태평양 전쟁' 당시 미 해군 수뇌부는 일본의 보급품 차단 전략을 세우면서 일본을 압박했습니다. 또한 태평양 전쟁 당시 미 해군의 일본 수송선 무차별 폭격을 통해 일본군 대부분이 무인도에 고립되기도 했었는데요. 아무도 없는 무인도에 남성 32명과 여성 1명이 남게 되었던 실화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945년 5월 24일, 태평양 전쟁이 진행중이었고 일본의 어선들은 일본 해군의 징발령에 의해 화물을 싣고 요코하마 항구를 출발했습니다. 하지만 어선 '헤이스케 마루'와 '이케보노 마루'는 미 해군 전투기에 발각되어 공격당했고 결국 2척의 어선이 가라앉게 되었다고 합니다. 어선이 가라앉자 '헤이스케 마루'의 승조원들은 죽을 힘을 다해 '아나타한 섬'으로 헤엄쳐 갔고 '이케보노 마루'의 .. 밀리터리 2018. 6. 30.
2차대전 당시 연합국은 추축국이었던 태국을 왜 가만히 냅뒀을까? 태국은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과 동맹을 체결하면서 추축국으로 분류되었던 국가입니다. 그런데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연합국은 태국을 패전국으로 규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국은 추축국이었던 태국을 왜 가만히 냅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은 아시다시피 식민지 확장을 하는 동안 자원부족 현상을 겪으면서 자원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동남아로 진출했습니다. 일본이 동남아로 진출하자 서양 열강들의 지배를 받던 동남아 국가들은 일제를 해방자로 받아들이고 그들을 도왔다고 하는데요. 동남아 국가 대부분이 일제의 식민지가 된 후 태국은 일본의 압박에 의해 영국과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당시 주미태국대사관 대사는 태국 정부가 전달한 선전포고문 전달을 거부하고 태국 독.. 밀리터리 2018. 4. 27.
'문재인 대통령'과 '이재명 성남시장'이 롤 모델로 삼는 인물 문재인 대통령과 이재명 성남시장이 정치적 롤 모델로 삼는 인물은 바로 미국 제46대 대통령을 지낸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입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20세기를 이끈 거물급 정치인 중에서도 다섯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인물이며 미국 역사 상 유일하게 4번이나 대통령을 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또한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의 대위기라고 할 수 있는 세계대공황을 극복한 인물로 뉴딜정책을 펼쳐 미국 경제를 다시 살린 인물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프랭클린 대통령은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자 1941년에 미국 여론이 참전 여론으로 바뀌면서 일본에게 선전포고를 했고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이 일본에게 선전포고를 하자 일본과 동맹국이었던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제국은 미국에게 선전포고를 했.. 밀리터리 2018.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