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련29 소련(현 러시아)이 북한에 끼친 영향 3가지 소련은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협상을 통해 한반도 이북에 들어가 대리통치를 했습니다. 그리고 소련은 '김일성'을 앞세워 한반도 이북에 공산정권을 수립하려고 했는데요. 소련(현 러시아)가 북한에 끼친 영향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련은 한반도 이북에 친소련 정권을 세우기 위해 얼굴마담으로 '김일성'을 앞세워 한반도 이북의 건국위원회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소련이 본격적으로 한반도 이북에 수립 될 정권에 개입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북한의 명칭 결정 북한의 국호라고 할 수 있는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은 소련군의 소장이자 소련 제25군 정치위원이었던 '니콜라이 레베데프'가 만들었다고 합니다. 당시 북한 정권에서도 자신들의 체제를 스스로 '인민민주주의'라고 불렀다고 하는데요. 이에 '레데.. 밀리터리 2018. 5. 26. 더보기 ››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뻔 했었던 위기 7가지 1950년 대부터 군비경쟁의 발달과 함께 종말을 불러올 미국과 소련사이의 전쟁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고 합니다. 역사적 사건들 중 핵 갈등을 불러올 수 있는 잠재적 시작점으로 생각 되는 사건들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전쟁 (1950. 6. 25~1953. 7. 27)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차지하려는 두 세력간의 전쟁이며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던 공산세력과 UN연합과 미국의 지원을 받던 자본주의 세력의 전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건이 초강대국 간의 전면전으로 확대될거라고 예상하였으며 CBS뉴스의 빌 다운즈 기자는 1951년에 한국전쟁은 제3차세계대전의 시작이다라고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인천에서의 놀라운 상륙작전과 국제연합군과 함께 미군의 합동작전은 자본주의 진영의 한국에서의 승리를 만들어 주.. 밀리터리 2017. 12. 22. 더보기 ›› 소련을 필두로한 사회주의권 국가들은 왜 붕괴되었을까?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시대가 촉발하면서 승전국이었던 소련과 미국은 체재대립으로 전 세계 긴장도를 이어갔습니다. 또한 냉전시기에는 3차세계대전이 여러 번 일어날 뻔했던 위기의 상황도 있었는데요. 하지만 소련은 1991년 해체 선언을 하면서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소련을 필두로한 사회주의권 국가들은 왜 붕괴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체적으로 소련의 붕괴원인은 내부 쿠데타로 알려져 있어 어느정도 맞는 사실이지만 소련이 붕괴한 결정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고 합니다. 그 것은 바로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국가부채로 인한 경제위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동유럽권에 공산 정권이 수립 된 것은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군이 지나간 국가들에 한해서 공산정권이 수립되었는데요. 하지만 소련을 필두로 한 사회주의.. 밀리터리 2017. 11. 19. 더보기 ››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에게 물자를 공급한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은 독일의 침공으로 인해 수도 모스크바까지 밀렸습니다. 또한 전쟁이 발발하자 소련 전역에는 젊은이들이 조국을 구원하기 위해 자원입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요.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에게 물자를 공급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차세계대전의 일부인 독소전쟁 당시 소련에는 많은 젊은이들이 조국을 구원하기 위해 자원입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지만 물자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물자가 부족한 부분에 있어서 소련은 군수지대가 독일에 의해 파괴되었기 때문에 엄청난 물자를 지급 할 능력이 되지 않았는데요. 실제 2차세계대전 미국이 참전하기 전 연합국은 징집병들에 대한 물자를 보급하고 있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알고 있었던 미국은 참.. 밀리터리 2017. 11. 10. 더보기 ›› 한국전쟁 당시 소련이 북한측에 서서 적극적으로 참전하지 않은 이유 한국전쟁 당시 소련은 북한에 탱크, 무기를 지원해주었지만 병력을 보내 적극적으로 참전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소련이 북한측에 서서 적극적으로 참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전쟁은 흔히 소련의 스탈린이 지시한 것으로 추정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소련 연방 붕괴 이후 공개 된 기밀문서에 의하면 스탈린은 한국전쟁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었다고 공개되었는데요. 실제 소련 연방 해체 후 공개 된 소련의 기밀문서와 스탈린의 최측근이었던 흐루쇼프 회고록에는 한국전쟁에 대한 스탈린의 고충이 담겨있다고 합니다. 기밀문서와 흐루쇼프의 회고록에는 스탈린은 한국전쟁 승인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었고 전쟁은 웬만하면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김일성이 지속적으로 스탈린을 찾아가 전쟁을 .. 밀리터리 2017. 10. 1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