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진왜란100 일본인들이 말하는 일본의 위대한 무장 4명의 공통점 일본인들은 대체적으로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들을 위대한 무장들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인들이 말하는 일본의 위대한 무장들의 공통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도도 다카토라 도도 다카토라는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으로 대세에 맞춰 수 없이 많은 군주를 섬겼다고 합니다. 도도 다카토라는 스즈가타케 전투, 사이가씨 정벌, 시마즈 정벌, 우에스기 정벌,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까지 굵직굵직한 전투에 참여해 공을 세웠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도도 다카토라는 임진왜란에 참전해 이순신에게 여러차례 패배했다고 합니다. 와키자카 야스하루 와지자카 야스하루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도와 일본 전국을 통일한 무장 중 한 명이라고 합니다.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일본 전국통일전쟁에서 수 많은 공을 세워 많은 영지를 하사받.. 밀리터리 2018. 10. 19. 더보기 ›› 조선왕조 역사 상 가장 포악하고 잔인했던 왕자 조선 역사 상 가장 잔인했던 왕자로는 대체적으로 '태종 이방원'으로 꼽히고 있지만 '태종 이방원'을 뛰어넘는 역대급 '싸이코패스'가 존재했다고 합니다. 조선왕조 역사 상 가장 포악하고 잔인했던 왕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선조수정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선조의 장자인 '임해군'은 어린 시절부터 포악하고 잔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는 '임해군'은 어린시절부터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무슨 짓이라도 할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의 기록에 의존하더라도 임해군의 범행은 조선 역대 왕자 중 가장 많아 최악이라고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임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게 포로로 잡힌 적이 있고 왜군에게 엄청난 고문을 받기도 했다고 합니다. 하.. 실시간 이슈 2018. 9. 21. 더보기 ›› 임진왜란에서 쳐발린 일본인들의 위대한 장군들 (feat. 이순신) 일본인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도와 일본 전국을 통일한 명장들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등을 제작해 그들을 미화하고 있습니다. 임진왜란에서 전쟁 범죄를 저지른 일본인들의 위대한 장군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도도 다카토라 도도 다카토라는 전국시대부터 에도시대 전기까지 걸쳐 활약한 다이묘로 도도 다카토라는 눈치가 빠른지 수 없이 많은 주군을 섬겼다고 합니다. 때문에 도도 다카토라는 시즈가타케 전투, 사이가 씨 정벌, 큐슈 정벌, 시마즈 정벌, 아이즈 우에스기 정벌,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겨울 전투 등 굵직한 싸움에는 대부분 참여했다고 합니다. 도도 다카토라는 굵직한 전투에 참여해 공도 많이 세웠기 때문에 32만 석의 영지를 하사받기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도도 다카토라는 임진왜란에 참전해 이순신.. 밀리터리 2018. 7. 9. 더보기 ›› 한국사의 헬 게이트라고 불리는 5대 사건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는 한민족이 살아가고 있는 곳으로 한민족의 역사를 한국사라고 통칭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헬 게이트라고 불리는 5대 사건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5위 한국전쟁 1950년 6월 25일에 발생한 한국전쟁은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한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한 전쟁입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한측 전사자는 14만 명에 달하며 남, 북한을 합치면 대략 200만 명정도로 추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 북한의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은 파괴되었으며 남한의 경우 종전 후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했습니다. 4위 임진왜란, 정유재란 일본 열도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내부 불만을 잠재우고자 세력을 과시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킨 명분은 명나.. 밀리터리 2018. 7. 9. 더보기 ›› 임진왜란 당시 일본이 '판옥선(귀선)'을 두려워 했던 이유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 귀선이라고 불렸으며 현대에 이르러 '거북선'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특히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최종병기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일본이 '판옥선(귀선)'을 두려워 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북선(귀선)의 기본형태는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이었던 판옥선에 개량한 것으로 판옥선에 지붕을 씌었고 포문을 많이 설치하여 공격력을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거북선 앞에는 용머리 형태의 포문을 달아 돌격전에도 용이하게 설계되었다고 하는데요. 때문에 거북선(귀선)은 임진왜란 당시 수 적으로 불리한 조선 수군의 돌격선으로써 적진을 휩쓸고 다녔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 수군의 전술은 배에서 사격을 가하는 것이 아닌 빠르게 적선에 붙어 적함에.. 밀리터리 2018. 6. 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