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조15 임진왜란 당시 선조는 무슨 이유 때문에 이순신을 시기했을까? 임진왜란 당시 해군참모총장이었던 이순신 장군은 민족을 구한 구국의 영웅으로 존경받는 인물입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당시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의 시기를 받고 자살했다는 설이 존재하기도 하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선조는 왜? 이순신 장군을 시기했을까?라는 주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는 조선의 구원병 요청에 의해 2차에 걸쳐 원병을 파병하게 됩니다. 또한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은 성격이 포악하지만 이순신 장군에게만큼은 노야(어르신)이라고 부르며 그를 존경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일본 본국으로 철수하는 왜군들을 이대로 보낼 수 없다며 노량에 출정했고 전투 도중 왜군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이순신 장군이 선조의 시기로 인해 자살을 했다는 설.. 밀리터리 2018. 1. 9. 더보기 ›› 임진왜란 당시 '선조'의 피난은 과연 신의 한수였을까?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 조정은 '선조'의 의도대로 수도인 '한양'을 버리고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또한 선조의 피난으로 인해 한양을 점령한 일본군은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선조'의 피난은 과연 신의 한수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는 신립의 충주방어선이 뚫리자 조정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을 버리고 피난 길에 올랐습니다. 당시 일본은 전국시대가 막 끝난 후였고 일본은 전쟁 도중이라도 군주가 잡히면 전쟁이 끝나는 시스템이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자신들의 시스템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조선을 침략한 일본측은 한양을 점령한 후 도망간 선조를 찾기 위해 북진을 감행했는데요. 하지만 '선조'는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한 후 광해군으로 하여금 전쟁을 진행하라.. 밀리터리 2017. 11. 18. 더보기 ››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국왕 '선조'는 왜 무능한 군주가 되었을까? 선조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14대 국왕으로 본명은 '이연'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국왕 '선조'는 왜 무능한 군주가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조는 사실 임진왜란 전란기와 비전란기의 평가가 확실하게 갈리는 군주로 임진왜란 발발 직전까지만 해도 국란을 잘 극복하고 있었던 명군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선조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그의 행동으로 인해 최악의 군주로 낙인찍혀버렸는데요. 실제 선조는 임진왜란의 임팩트가 너무나 크다보니 암군의 대명사로 자리잡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합니다. 그가 임진왜란 당시 했던 행동은 당시 조선 최강의 명장이라고 불렸던 '신립'이 탄금대에서 전멸당하자 그는 평양을 거쳐 몽진(피신)을 감행하게 되는데요. 실제 그는 몽진(피신) 도중에도 "내가 죽어도 천자의 나라에서 죽겠.. 밀리터리 2017. 11. 18. 더보기 ›› 성군으로 평가받았지만 임진왜란 때문에 흑역사가 되어버린 인물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직전 조선은 수 십년 간 전쟁이 발발하지 않아 비교적 부유한 국가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 전 영토는 피폐화되었고 백성들은 고통받았는데요. 성군으로 평가받았지만 임진왜란 때문에 흑역사가 되어버린 인물 '선조'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조선은 임진왜란 발발 이후 심각 할 정도로 일본군에 의해 전선이 빠른 속도로 붕괴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또한 당시 최강이라고 불리던 '신립' 장군의 8천의 정규군이 탄금대에 진을 치는 전략적 실수를 저지르면서 전멸당하게 되는데요. 탄금대에서 조선 정규군 8천 명이 전멸 당하자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군은 한양 근처까지 올라오고 있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백성들을 지켜야 하는 국왕 선조는 희대의 병크짓을 하게 되는데요. 그 것은 바.. 밀리터리 2017. 10. 14. 더보기 ›› 한민족 역사 상 가장 최악의 장군으로 평가받는 인물 한민족 역사 상 가장 최악의 장군으로 평가받는 인물은 임진왜란 발발 초기 경상우수사를 지냈던 원균입니다. 또한 원균은 이순신 장군과 대립했던 인물로 유명하기도 한데요. 무슨 이유 때문에 원균이 한민족 역사 상 최악의 장군으로 평가받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592년 5월 23일 일본 열도를 통일한 히데요시의 명령 하에 일본군은 조선을 침공하게 됩니다. 그리고 임진왜란 발발 첫 전투는 동래성 전투로 동래성은 일본군의 조총에 의해 힘 없이 무너졌고 결국 동래성은 일본군이 함락하게 됩니다. 임진왜란 발발 초기 당시 원균은 경상우도절도사의 직책을 역임하고 있었고 당시 경상우수군은 조선 수군 조직에서도 가장 많은 판옥선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동래성을 함락한 일본군은 파죽지세로 한양에 있는 선조를.. 밀리터리 2017. 7. 2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