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 전쟁24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당시 20대 초반의 한국군 병사들의 모습 베트남 전쟁이 발발한 후 미국은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을 철수해 베트남에 배치시키려고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국은 주한미군 철수 대신 한국군 전투 병력을 파병해준다는 조건을 걸고 베트남에 한국군 전투병력을 파병하게 되는데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당시 20대 초반의 한국군 병사들의 모습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군은 1965년부터 1973년까지 5만 병력의 규모의 병력을 베트남에 보내 작전을 수행했다고 합니다. 특히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한국군은 베트남 호지명(호치민)이 직접 조심하라고 공문을 보낼 정도로 두려운 존재였다고 하는데요.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을 당시의 포스터를 보면 평균 연령은 만 21.6세이고 평균 시력은 1.5라고 나와 있다고 합니다. ▼아래는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 밀리터리 2018. 12. 1. 더보기 ›› 절친한 우방이었던 베트남과 북한이 사이가 멀어지게 된 계기 북한과 베트남은 같은 공산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공산주의 동맹국'으로써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베트남과 북한은 교류는 하고 있지만 예전과 같지는 않다고 하는데요. 절친한 우방이었던 베트남과 북한이 사이가 멀어지게 된 계기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과 미 동맹국이 철수한 후 중국은 베트남을 공격하여 이른바 '중월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중월전쟁'으로 인해 중국과 베트남의 사이는 급격히 나빠지기 시작했으며 심지어는 적대시까지 하기도 했는데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절친한 우방이었던 북한은 베트남과 중국 사이에서 중국의 편을 들기 시작했습니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북한은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에 전투기 조종사를 파견했을 정도로 돈독했다고 하는데요.. 밀리터리 2018. 5. 31. 더보기 ›› 미국은 왜 인도차이나(베트남) 전선에 대한 진실을 30년 간 숨겨야만 했을까? 베트남 전쟁은 미국 내부에서도 더러운 전쟁(Dirty War)라고 불릴 정도로 매우 아픈 상처를 남긴 전쟁입니다. 그런데 최근 영화 '더 포스트'가 개봉하면서 미국 정부가 2차세계대전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30년 간 진실을 숨킨 사실을 재조명했는데요. 미국은 왜 '인도차이나(베트남)' 전선에 대한 진실을 30년 간 숨겨야만 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이 2차세계대전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약 30년 간 숨킨 사실은 미국 뉴욕의 일간지인 '뉴욕타임즈'가 '펜타곤 페이퍼'라는 1급 기밀을 확보하면서 폭로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뉴욕타임즈는 '펜타곤 페이퍼'를 입수한 후 '베트남 전쟁'에 대하 진실을 허구로 국민들에게 발표하고 은폐하려고 했던 사실을 주로 보도했다고 하는데요. 실제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 불리던.. 밀리터리 2018. 3. 10. 더보기 ››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게 된 이유 4가지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전쟁 중 하나인 베트남 전쟁은 미국에게 큰 상처를 안겨준 전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 역시 미국의 요청으로 전투병력을 파병했는데요. 파월한국군은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같이 대한민국으로 철수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적인 명분 상실 프랑스의 경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휴전하면서 프랑스가 남베트남에서 철수하게 되었습니다. 프랑스가 첡수하자 미국이 반공을 명분으로 남베트남 지역으로 들어오면서 남베트남 정부의 독재정치를 묵인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미국의 묵인으로 인해 남베트남 정부의 인권 탄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자 남베트남의 공산세력들은 독자적인 무장세력을 만든 후 남베트남 일대 대부분을 점령하게 됩.. 밀리터리 2018. 2. 17. 더보기 ›› 냉전을 대표하는 베트남 전쟁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된 이유 7가지 세계 전쟁사에서 미국이 최초로 패배한 전쟁으로 기록되어있는 베트남 전쟁은 세계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특히 베트남 전쟁은 한국전쟁과 더불어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세계대전급 전쟁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본국으로 철수하자 베트남은 월맹에 의해 공산화되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많은 문제가 되었습니다. 참전용사대우문제 (한국)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의 동맹국 자격으로 참전한 한국은 국가적으로 많은 이득을 보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박정희 유신정권은 유신 헌법에 군인 및 군무원, 경찰공무원에 대한 이중배상금지 규정을 통과시켜버렸습니다. 결국 2000년 대까지 와서도 베트남 참전용사에 대한 배상금을 푼돈이나 받게 된 것의 배경이라고 합니다. 미국 정치 및 사회 변화 베트남 전쟁 당시 미.. 밀리터리 2018. 1. 2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