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정일23 북한 김정일이 밝힌 13살 여중생 '요코타 메구미'를 납치한 이유 '요코타 메구미'는 일본인으로 1977년 11월 15일 일본 니가타에서 북한 공작원에게 납치 되어 북한으로 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요코타 메구미'는 학교를 마친 후 집에 귀가하던 도중 북한 공작원에게 납치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북한 김정일이 직접 밝힌 13살의 여중생 '요코타 메구미'를 납치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77년 11월 15일 일본 나가카에 사는 한 여중생이 납치되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요코타 메구미'로 당시 일본 경찰은 실종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단순실종'으로 분류하고 20년 간 방치해두었다고 하는데요. 그러다 1997년 1월 북한 공작원이라고 주장하는 '안명진'이라는 인물에 의해 '요코타 메구미'는 북한에 의해 납치되어 납북되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안명.. 밀리터리 2018. 5. 12. 더보기 ›› 북한 김정은이 아내 리설주를 공식적인 자리에 대동하는 이유 북한 김정은은 공식적인 자리에 아내 '리설주'를 대동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있습니다. 북한 김정은이 아내 리설주를 공식적인 자리에 대동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얼마 전 비공식으로 진행 된 '북중 정상회담' 당시 북한 김정은은 아내 '리설주'와 함께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이러한 북한 김정은의 행보에 의해 '리설주'는 전 세계에서 다시한 번 주목받았는데요. 김정은의 아버지인 '김정일'은 공식적인 행사에 개인적으로 방문했으며 사망하기 전까지 아내를 공식적인 자리에 대동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특히 김정일은 중국을 방문하며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는 자리에도 단 한 차례도 아내를 데려가는 일이 없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김정일은 여자는 많았지만 실질적으로 정식부인이 없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리.. 밀리터리 2018. 4. 8. 더보기 ›› 탈북한 북한 고위급 간부가 말하는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진실 도끼만행사건은 1976년 8월 18일 판문점에서 일어난 북한의 대남도발사 중 역대급 막장 사고입니다. 북한 고위 간부가 말하는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의 진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이후 박병엽 전 노동당 고위간부의 증언록에는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당시의 상황의 진실을 제대로 알려주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당시 북한 국가주석이었던 김일성이 아닌 김정일에 일어난 것이라고 증언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를 뒷받침 해주는 증거로는 당시 북한에서 망명하거나 고위급 간부들의 증언이 있다고 하는데요. 박병엽 전 노당당 고위 간부를 비롯한 고위급 탈북자들은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당시 북한은 김정일이 후계체재를 구축해나가는 과정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당시 김정일은.. 밀리터리 2018. 1. 4. 더보기 ›› 탈북 기자가 말하는 북한에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 탈북자 출신 평양 기자 김길선은 북한에 거주 할 당시 평양에서 기자생활을 하며 김정일-성혜림 스캔들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인의 발설로 인해 보위부에 끌려갔고 지방으로 쫓겨나자 탈북을 결심했다고 하는데요. 탈북기자 출신 김길선 기자는 중국 지역에 가보니 밭을 메는 할머니도 북한 실상에 대해 전부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탈북에 성공하여 남한사회에 정착하면서 종편방송을 포함한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출연하여 북한에 대한 실상을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알리고 있는데요. 김길선 기자는 북한 전문가의 자격으로 서울대 토크 콘서트에 참석한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서울대학생들은 김길선 기자에게 "남한은 민주화 운동을 통하여 민주국가로 자리 잡았는데 북한은 왜? 민주혁명을 하지 않는 것이냐?.. 밀리터리 2017. 12. 19. 더보기 ›› 북한 2대 독재자 김정일이 문화산업에 집착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북한 2대 독재자인 김정일은 자신의 권력을 위해서라면 모든지 하는 악마같은 인간으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또한 김정일은 북한을 통치하는 동안 영화와 같은 문화컨텐츠 사업에 굉장히 관심이 많았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북한 2대 독재자 김정일이 문화산업에 집착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정일이 김일성 사망 이후 북한 지도자로 취임했을 당시 북한은 내부 사정이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 때문에 북한은 공산주의의 기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배급제'를 중단시키게 되는데요. 이 때문에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배급이 중단되자 북한 주민들은 최대 350만 명까지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북한의 '고난의 행군' 당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것은 배급을 하지 않은데다 주민들은 노동에 투.. 밀리터리 2017. 10. 1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