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차세계대전84 2차대전 당시 미국의 보급체계를 보여주는 대표사례 2차세계대전은 크게 유럽전선과 태평양 전선으로 나뉜다고 합니다. 특히 태평양 전선은 태평양 전쟁으로 불리며 미국과 일본이 벌인 전쟁을 뜻하기도 하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보급체계를 보여주는 대표사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 배치되어 있던 미 태평양 함대는 행정착오로 인해 보급받은 전투식량이 너무 많아 심각한 문제를 겪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을 다룬 기밀문서에는 당시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1945년 태평양 전쟁이 한참 진행중이던 당시 미 태평양 함대가 가지고 있던 보급라인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보급라인 부족으로 인해 미 태평양 함대는 해운운송을 관리하던 전시함선국에 전투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식량을 요.. 밀리터리 2018. 2. 1. 더보기 ›› '김영옥 대령'이 미국에서 미국의 전쟁영웅으로 평가받는 이유 김영옥 대령은 한인교포 2세로 1941년 2차대전에 미국이 참전을 공식화하자 징집대상에 포함되어 미 육군 병사로 입대했다고 합니다. 김영옥 대령은 미 육군 병사로 입대한 후 육군 사관학교후보생으로 선발되었고 그는 미 육군 442연대 100대대에 배치되면서 소위로 임관하게 되었습니다. 김영옥 대령이 이끄는 일본계 2세 부대였던 100대대는 2차대전 당시 로마점령 작전에 큰 공을 세우게 되는데요. 당시 김영옥 중위가 이끄는 100대대는 로마 전선의 피사 전투에서 단 한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키지 않고 피사를 점령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당시 사령관이었던 마크 클라크 장군은 김영옥 대령의 계급이 중위라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서 바로 진급시켰다고 합니다. 즉, 김영옥 대령은 2차대전 당시의 미 육군 장군도 인정한 미.. 밀리터리 2018. 1. 26. 더보기 ›› 인류의 역사를 완전히 바꿔버린 상륙작전 3가지 상륙작전은 적의 후방을 공격하기 위해 실행하는 상륙작전으로 엄청난 병력 피해를 감수해야만 하는 작전이라고 합니다. 세계 역사를 뒤바꿔버린 역대급 상륙작전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에게 점령당한 프랑스를 수복하기 위해 노르망디 일대에 연합군이 펼친 상륙작전입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은 미군이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연합국의 반격의 신호탄 같은 작전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라고 하는데요. 노르망디 상륙작전 D-day에는 약 13만 2천 여명의 연합군이 투입되었다고 하는데요.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간인 1944년 6월 6일부터 7월까지 연합군의 총 사상자로 12만 명으로 통계되었다고 합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은 2차세계대전에서도 아주 뜻깊은 작전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 군.. 밀리터리 2018. 1. 23. 더보기 ››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실험병기로 개발한 무기 3가지 미국은 2차세계대전 당시 진주만 폭격으로 미국 국내여론이 전쟁참여여론으로 확산되면서 연합국측으로 참전하여 일제를 패망시켰습니다. 따라서 2차세계대전 당시에 미국이 실험병기로 개발한 3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틀 데이비드 1945년 2차세계대전 말기에 만들어진 미국의 박격포입니다. 포 구경만 따지면 세계 최대의 곡사포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차르대포보다 크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실제로 제작된 포격용 병기중에서는 가장 거대한 구경을 가진 괴물 박격포입니다. 리틀 데이비드는 구스타프 열차포와 비슷한 이유로 사용하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리틀 데이비드라는 거대 박격포를 사용하려고 했지만 핵폭탄을 본토에 맞은 일본이 항복해버린 것이라고 합니다. 미군의 입장에서는 시험병기를 실전용으로 개조한 것이라 .. 밀리터리 2018. 1. 20. 더보기 ›› 세계인들이 2차세계대전 종전을 뜻하는 명칭을 알아보자 광복절은 2차세계대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면서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해방 된 일을 기리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2차세계대전 종전을 기리는 말을 광복절이라고도 사용하지만 전 세계 사람들은 2차대전 종전을 어떻게 부르고 있을까요? 2차세계대전 종전을 부르는 각 국의 명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고 부르는 나라 8월 15일을 식민통치에서 해방한 광복절이라고 부르는 나라는 인도, 콩고 등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인도, 콩고 등의 국가들은 대한민국과 같은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는 독립기념을 기리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 일본은 8월 15일을 종전기념일로 부르고 있지만 일본 법률에 의한 공식명칭은 '전몰자를 추도하여 평화를 기원하는 날' 이라고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본 법률의 공식명.. 밀리터리 2018. 1. 1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6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