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차세계대전84

가장 쓸모없는 전술로 평가받는 일본군의 '반자이 어택' 인류 역사 상 가장 쓸모없는 전술로 평가받는 일본이 2차세계대전 당시 실행했던 '반자이 어택' 입니다. '반자이 어택'이 인류 역사 상 가장 쓸모없는 전술로 평가받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단 '반자이 어택'은 총검술로써 엄연히 돌격전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총검술'의 경우 전장식 소총이 주력이었던 시절까지 적의 전열을 무너트리는 전술로도 사용되었다고 하는데요. 실제 사례를 살펴보자면 1차세계대전 당시 프랑스군은 적의 대열을 무너트리기 위해 소총에 단검을 장착해서 돌겨가는 '총검술'을 사용한 바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1차세계대전 당시 '프랑스군'이 사용한 총검술은 인명피해가 막심했기 때문에 크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2차세계대전은 1차세계대전과는 달리 연사식 .. 밀리터리 2018. 1. 8.
2차대전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연합국이었다는 증거 1919년 3월 1일 3.1운동을 기점으로 중국으로 망명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국측으로 전쟁에 참전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시절 대한민국 망명정부는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국측 참전국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연합국측으로 참전했다는 증거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차세계대전은 아시다시피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이 주축이 되어 전 세계와 전쟁을 벌인 세계대전입니다. 또한 일본은 2차세계대전 초기 중립을 유지하던 미국의 진주만을 공습하여 미국을 연합국측으로 참전하게 만들었는데요. 미국과 일본의 전쟁지역이었던 태평양 전선은 크게 동북아, 동남아, 태평양 일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태평양 전선은 미국과 일본 .. 밀리터리 2018. 1. 7.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 수도인 '도쿄 대공습'을 실행한 진짜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일본 본토 '도쿄 대공습'을 통해 일본 본토를 폭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도쿄 대공습을 실행한 진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본 '도쿄'는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수도로써 일본에서도 근대화가 가장 빨리 추진되었던 지역입니다. 하지만 일본 수도인 '도쿄'는 미 육군항공대의 폭격을 피할 수 없었는데요. 일본 본토 대공습 작전을 수행한 미 육군항공대 부대는 '둘리틀 특공대'로 이들은 일본의 주요 도시 폭격 임무를 수행했던 부대인데요. 실제로 '둘리틀 특공대'는 '도쿄 대공습' 당시 도쿄에 엄청난 폭탄을 투하하여 그야말로 도쿄를 불바다로 만들어버렸다고 합니다. 미국 군 수뇌부가 '도쿄 대공습'을 실행한 이유는 바로 진주만 공습에 대한 보복이었다고 하.. 밀리터리 2018. 1. 4.
일본을 세계 지도에서 없애버릴 목적이었던 '몰락작전'이 취소된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계획한 작전은 바로 몰락작전(Operation Downfall)입니다. 미군 100만 명 이상이 투입되어 일본을 세계지도에서 지워버릴 목적이었던 작전인 몰락작전이 취소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몰락작전은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유럽전선에서 항복하자 포츠담 회담이 열렸고 미국은 포츠담 회담을 근거로 일본에게 항복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미국의 항복 요구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사실 태평양 전선보다도 유럽 전선의 상황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참전 초기에는 유럽 전선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 육군이 유럽전선에 투입되자 연합국은 프랑스를 수복하고 총반격을 통해 나치 독일과 .. 밀리터리 2017. 12. 29.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에 핵 무기를 투하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항복으로 인해 유럽 전선이 끝날 무렵 일본은 연합국의 '포츠담 선언' 이행문을 시행하라는 요구에도 이를 무시하고 전쟁을 지속했습니다. 결국 일본은 미국의 원자폭탄을 뚜들겨 맞고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게 되었는데요.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에 원폭투하를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입장에 의하면 원폭투하 결정은 불가피했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은 나치 독일의 항복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지속적으로 전쟁을 진행하고 있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소련의 지도자 스탈린은 만주작전 실행 전 일본 훗카이도의 남북 분할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루스벨트의 후임자인 트루먼 대통령은 스탈린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무시했다고 하는데요... 밀리터리 2017. 1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