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차세계대전84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원자폭탄 개발을 비밀리에 진행한 이유 원자폭탄은 인류가 만들어 낸 가장 강력한 무기로 2차세계대전이라는 대규모 전쟁을 한 방에 끝낸 무기입니다. 하지만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기 전 원폭개발을 비밀리에 추진했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원폭개발을 비밀리에 진행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국이 개발한 원자폭탄은 2차세계대전 당시 루스벨트 대통령의 맨해튼 계획에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미국의 맨해튼 계획은 루즈벨트 대통령을 비롯한 실제 개발자들을 제외하곤 극비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루즈벨트 대통령 사임 후 대통령에 당선 된 해리 트루먼 대통령 역시도 원폭의 존재에 대해 몰랐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2차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전시총리였던 윈스턴 처칠 역시도 몰랐다고 합니다. 미국 정부가 2차세계대전 당시 원자폭탄 개발.. 밀리터리 2017. 12. 14.
미국과 전쟁한 국가를 무시하는 전 세계 유일민족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과 전쟁한 국가는 바로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일본이라는 국가입니다. 또한 일본은 2차세계대전에서 패망한 이후 일본은 냉전시대에 엄청난 군수물자를 팔아 경제부활을 이룩했는데요. 미국과 전쟁한 국가를 무시하는 전 세계 유일민족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본은 아시다시피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 진주만을 공습한 이후 미국으로부터 선전포고를 받고 태평양 일대에서 미국과 전쟁을 벌였습니다. 특히 일본은 태평양 전쟁 초기 미국 본토까지 침공하는 등 미군과의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기도 했었는데요. 하지만 일본은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군의 전략에 휘말려 패배했고 그 결과 일본 본토까지 밀리게 됩니다. 또한 일본은 전쟁에서 밀리는 상황이었지만 일본 내 강경파들의 입장에 의해 원폭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미.. 밀리터리 2017. 12. 12.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미국 진주만을 공격한 이유 4가지 1940년 일본은 일본군 5사단을 인도차이나로 진군시켰고 2차대전의 전쟁범죄국 집단인 삼국 주축 동맹을 체결해버렸습니다. 또한 일본은 동남아 식민지 전쟁을 중지하라는 미국의 압력과 경고에도 지속적으로 감행했는데요. 결국 1941년에 미국(America), 영국(Britain), 중국(China), 네덜란드(Dutch) 4개국은 일본에 전략물자 수출을 금지하는 ABCD 포위망을 형성 시켰습니다. 당시 일본은 중국과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석유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었고 미국의 ABCD포위망에 의한 석유 수출금지는 일본에게 치명타였습니다. 당시 일본제국이 미국과 협상하려고 했던 의도 2차대전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이 아니라 세계 열강 중의 한개 나라 정도의 이미지였습니다. 2차대전 당시 중립을 유지하고 있던 미.. 밀리터리 2017. 12. 10.
미국이 2차대전 당시 일본에 원자폭탄 투하를 결정하게 된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원자폭탄은 인류 역사 상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사용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에 원폭을 실전 투하한 진짜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에 원폭을 실전 투하한 결정적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은 연합국의 '포츠담 선언'에 대한 이행을 실행하지 않고 미국과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나가사키, 히로시마에 원폭을 뚜들겨 맞고 난 후 항복을 하게 되었는데요. 사실 미국이 원폭을 투하 하기 전 유럽전선은 전쟁이 끝났기 때문에 유럽 전선에 주둔하고 있던 소련군 대부분이 극동전선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소련은 러일전쟁에서 패배한 수치를 회복하기 위해 일본에 대해 총반격을 준비하고 있.. 밀리터리 2017. 12. 9.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수호신이라 불리던 일본 장군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수호신이라고 불리던 일본 장군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의 이름은 대한민국 독립훈장을 받아도 된다고 평가받는 일본 장군 '무타구치 렌야'인데요. '무타구치 렌야'가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수호신으로 불린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무타구치 렌야'는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제15군 사령관으로 1944년 3월 15일부터 7월 1일까지 버마와 인도 국경지대에서 벌어진 임팔작전을 지휘했습니다. 당시 버마전선에 투입 된 일본군 병력은 9만 2천 여명으로 연합군의 병력인 3만 5천 명보다 대략 3배에 가까운 병력이었는데요. 임팔전투 당시 연합군은 수송기를 이용해 식량을 보급했지만 '무타구치 렌야'의 '보급이란 원래 적에게서 취하는 법이다.'라는 발언을 하며 보급체계를 완전히 무시.. 밀리터리 2017.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