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56

일본의 재 침략! 정유재란과 강화회담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군은 이치전투에서 권율장군이 지휘하는 조선군에게 패배하고 진주목사 김시민이 진주성을 방어하여 진주성 함락을 실패하자 조선의 전라도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그러다보니 일본군 내부에서도 더 이상 진격하기 힘드니 물러서자는 분위기 였다고 하며 진주성이 함락되었던 2차 진주성전투(1593년 6월)에는 일본군이 물러나는 가운데 히데요시의 김시민에 대한 분풀이와 일본군의 세력과시를 위해 벌어진 전투이지만 1차 진주성전투와는 달리 6~7천명 정도의 수비병력으로 방어전에 나섰으나 9만이 넘는 일본군을 상대로 9일동안이나 항전했으나 갑작스런 폭우로 성벽 일부가 무너지면서 성이 함락되었다 하지만 일본군 역시 성을 함락하는데 있어서 병력과 여러방면에서 피해가 심각했다고 한다 김덕령, 곽재우, .. 밀리터리 2016. 10. 2.
일제 해방 이전까지의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한국의 고대역사에서는 동북아시아를 평정하며 만주지역을 지배했던 고구려와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을 지배했던 백제의 경우에도 대륙백제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구체적인 군사조직의 기록이 나타났으며 일본제국으로 부터 독립하기 이전까지의 대한민국의 국군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제 해방이전까지의 한국 국군의 역사 고대 (고조선 ~ 삼국시대) 고조선시대의 군사조직에 대해 자세히 남아있지는 않으며 대체적으로 역사학자들은 유물을 통하여 대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비파형 동검과 세형 동검과 같은 청동검과 돌 또는 짐승뼈로 만든 화살촉을 사용했다는 정도이며 위만조선이 세워지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철기문명을 받아들이면서 철제무기로 무장을 하기 시작하였다삼국시대에는 군사문화에 대해 기록이 등장하는데 고대.. 밀리터리 2016. 10. 1.
일본에서 보는 조선군 장수에 대한 인식 한국에서도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을 침략했던 일본군 장군들중에 그들의 대장인 풍신수길 이외 선봉장이자 외교를 담당했던 가등청정(가토 기요마사), 소서행장(고니시 유키나카) 딱 2명 뿐이며 당시 우리의 조상님들은 일본장수의 이름을 발음이 들리는데로 한자로 적었으며 그바람에 현재까지도 어르신들은 누군지 현재까지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일본측도 마찬가지인것이 일본에 징비록에 들어가기 전까지 일본에서 아는 조선측 장수로는 해상보급로를 끊어버린 이순신 장군을 제외한 3명은 일본군에게 패전하거나 다시 말해 일본이 이긴 전투의 상대방 지휘관만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도 자신들의 기준으로 역사를 기록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 알려져 있는 조선측 장군들 진주목사 김시민 (진주성 방어전에서의 승리).. 밀리터리 2016. 9. 30.
임진왜란 이후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들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진출의 야욕과 센고쿠 시대를 거치며 일본의 축적된 무력을 국외로 발산하기 위해 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조선에 정명가도(명나라를 칠테니 길을 빌려달라)라고 표면적으로 요청하였으나 당시 명나라 제후국이었던 조선은 이를 거부하여 일본의 조선침략전쟁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날짜 : 1592년 5월 23일 ~ 1598년 12월 16일 장소 : 조선(한반도) 표면적명분 : 일본의 정명가도 의사를 조선이 거부 실질적 이유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진출야욕, 일본의 축적된 무력 국외발산 교전국 : 조선, 명 제국 vs 일본 도요토미 정권 결과 : 노량해전을 마지막으로 조선,명 제국 연합군의 승리 임진전쟁, 정유재란의 각 국의 영향 조선(Joseon Dynasty).. 밀리터리 2016. 9. 28.
조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 TOP5 한국사에서 한국 근대 역사는 조선이라는 국가가 한반도를 통치한것으로 나와있는데요. 폭군도 있지만 백성의 말을 귀담아 듣고 어진 정책을 펼친 군주도 있습니다.지극적으로 개인적인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 공감하실거라 생각하겠습니다 1위 세종대왕 재위기간 : 1418년~ 1450년 조선의 4대임금 세종은 유교학자이자 언어학자이며 오늘날의 한글을 창제한 인물이기도 하다. 훈민정음 창제당시 성균관의 언어학자들과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으며 세종의 아버지 이자 선대임금인 태종 이방원의 국방정책의 영향에 따라 조선의 국방력 또한 어느정도 안정을 시킨 임금이라고 하며 조선의 과학기술을 세계최고로 끌어올린 임금이며 조선 역사상 위대한 성군이라 일컫는다. 2위 영조대왕재위 : 1724년 ~ 1776년 조선의 21대 국왕인 영조대왕.. TOP시리즈 2016.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