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56

임진왜란 당시 강화협정에 대한 새로운 학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 일본은 강화협정이라는 것을 통해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고 했다. 대체적으로 알려져 있는 강화협정과는 다른 형태를 띄우고 있는데 최근 역사학자들이 연구한 내용에 있어서는 기존의 임진왜란 당시 강화협정에 대해서 부정되고 있다. 현재의 글은 최근의 논문을 요약한 것이라고 보면된다 명나라의 참전으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명의 강화사에게 제시한다 1. 평화조약을 보증하기 위해 명나라 황녀를 일본 천황의 후궁으로 삼는다 2. 무역을 재개한다 3. 일본과 명나라 양국 대신이 각서를 교환한다 4. 조선 8도 가운데 4도를 일본에 이양한다. (조선의 4도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경기도) 5. 조선의 왕자와 신하 1~2명을 볼모로 일본에 보낸다 6... 밀리터리 2016. 11. 7.
조선 조정에서 평가하는 충무공 이순신 "이순신은 천지를 주무르는 경천위지의 재주와 나라를 바로 잡은 보천욕일의 공로가 있는 사람이다" -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 - 성명 : 이순신 국적 : 조선 주요전투 : 한산도 대첩, 사천해전, 명량대첩, 노량대첩, 옥포해전, 합포해전 업적 : 조선을 침략해온 왜군을 상대로 민족을 구한 영웅 "한산도에 진을 치매 적이 감히 엿보지 못하고 한 바다를 가로막으매 그대 힘만 믿었더니 지난 해에 패전한 것 원통한 말 어이할꼬, 그대 그냥 두었던들 그럴 리가 있었으랴, 대장을 잘못 바꿈, 이 나의 허물이라 누구더러 도와 달란 들 기운 짐 어이하리, 두 번 다시 부임하여 무너진 뒤를 이어 혼란을 수습하고 군졸을 불러 모았도다... 사랑홉다 그대여, 공로는 사직에 있고 빛나는 충성 절개 죽어도 영화롭다. 인생 한 세.. 밀리터리 2016. 10. 16.
임진왜란 이후 동북아시아 3개국의 전후 상황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했다는 일본 본국의 소식에 의하여 비밀리에 일본군은 일본 본국으로 철수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7년간의 전쟁도 종결이 되었으며 동북아시아 3개국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중요한 사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임진왜란이 종결 된 후 조선, 명, 일본의 전후 사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진왜란 종결 이후 동북아시아 3개국의 전후 상황 조선 (Joseon Dynastry) "조선의 역사는 명백하게 임진왜란 전과 후로 갈린다." 왜란이 일어난지 7년동안 조선은 한반도 전국을 다 합쳐서 막대한 임명피해와 물자피해 등 많은 피해를 보았으며 전쟁동안 일본군들이 전국 각지를 공격하여 조선 병사들을 몰살시키고 양민들도 학살하였으며 농사를 짓는 토지와 농촌 지역도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의병이 봉기하였을 당시 의.. 밀리터리 2016. 10. 11.
임진왜란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들 1592년 (조선 선조 25년 임진년) 4월 14일 부터 1598년 (선조 31년 무술년) 11월 19일까지 7년간 조선-명나라 vs 일본 사이에서 일어난 국제전쟁이며 흔히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를 구분하는 경계로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사에 중대한 분수령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본의 정권교체와 장기적으로 중국 대륙의 왕조교체까지 동북아시아에 있는 3개국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 날짜 : 1592년 5월 23일 ~ 1598년 12월 16일 장소 : 한반도 (조선) 표면적 명분 : 일본의 정명가도 의사를 조선 조정이 거부 승리국가 : 조선-명나라 임진왜란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들 1. 당시 일본은 중앙집권식 국가가 아니었다 당시 일본의 정부 체제는.. 밀리터리 2016. 10. 7.
일본의 재 침략! 정유재란 정유재란은 1597년 8월에 도요토미 정권 하 일본군이 명나라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다시 조선을 침공하여 1598년 연말까지 지속 되었던 전쟁이다 일본에서는 고요제이 천황의 연호를 따서 게이초의 역이라고 하며 정유재란의 뜻은 정유년에 다시 일어난 전쟁이라고 하여 정유재란이라고 한다 정유재란의 일본군의 성격은 임진왜란과 반대양상을 띄었다 쉽게 풀이하자면 일본군은 대부분의 성을 수성하는 방어측에서 전투를 주로 하게 되었고 조선과 명나라는 대부분 공격측에서 전투를 진행하였다 정유재란 일자 : 1597년 8월 27일 ~ 1598년 12월 16일 장소 : 조선 한반도 하삼도(전라도,충청도,경상도) 일대 결과 :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이 전부 철수함으로써 조명 연합군의 승리 정전협상 불발과.. 밀리터리 2016.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