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197 미국이 북한을 쉽게 타격하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 6가지 만약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실행하게 될 경우 투입되는 미 공군의 전력은 B-1B 랜서 폭격기라고 합니다. 미국이 북한을 쉽게 타격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과의 전면전 예상 중국과 북한은 동맹관계로 북한이 전쟁을 시작하게 될 경우 조중동맹조약에 의거하여 중국이 자동적으로 참전하게 된다고 합니다. 만약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감행하게 된다면 미국과 중국의 전면전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인데요. 미국의 입장에서 중국과의 전면전을 펼쳐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없기 때문에 쉽게 북한을 타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김정은의 도발적 행동우려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감행하게 된다면 정권 붕괴로 인한 심리적 현상으로 김정은의 도발적 행동을.. 밀리터리 2017. 5. 22. 더보기 ›› 미 해병대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5대 전투 미 해병대는 2차세계대전을 포함한 한국전쟁에도 참여했던 군대입니다. 미 해병대 역사상 가장 치열하게 싸웠던 전투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과달카날 전투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벌어진 전투로 대체적으로 태평양 전선의 스탈린그라드 전투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달카날 전투에서 미 국방부의 공식발표에 의하면 미 해병대 7,100명이 전사했으며 군함이 29척이 침몰하고 항공기 615대를 손실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 해병대는 과달카날 전투에서 엄청난 전력 손실을 당했지만 과달카날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미국의 총반격을 이끌어낸 전투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펠렐리우 전투 펠렐리우 전투는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필리핀 탈환전을 앞두고 펠렐리우 섬의 비행장을 확보하기 위해 벌어진 전투라고 합니다.. 밀리터리 2017. 5. 20. 더보기 ››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이 한민족에게 끼친 영향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는 미 해군기지인 진주만을 기습공격하면서 수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 여론은 전쟁 참여를 해야한다는 여론이 거세지면서 미국은 연합국측으로 전쟁에 참여하게되었습니다. 결국 미국의 참전은 연합국이 유럽전선을 포함하여 태평양 전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결정적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일제는 '포츠담 선언' 이행을 따르지 않고 미국에게 대항하다가 인류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원폭을 맞을 국가가 되었습니다. 2번의 원폭과 수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자 일본은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패망하게 되었습니다. 일제의 패망은 일제의 식민지배를 받았던 한반도가 독립하는 결정적인 사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한반도는 일제로부터 해방 된 이후 남한에는 미군정이 북한에는.. 밀리터리 2017. 5. 17. 더보기 ›› 2차세계대전이 전 세계에 끼친 영향 4가지 2차세계대전 당시 일제는 중립 입장을 지키던 미 해군기지인 진주만을 기습공습하여 미군이 참전하는 명분을 만들어줬습니다. 인류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라고 불리는 2차세계대전이 전 세계에 끼친 영향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냉전의 개막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연합국으로 대표되는 소련과 미국의 대립인 냉전시대가 개막되었습니다.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은 현재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전쟁으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기존 열강체재에서 소련과 미국의 체재로 변화되었습니다. 중국 공산당 정부 수립 2차세계대전 당시 일어난 중일전쟁으로 인해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은 세력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국공합작이라는 것을 통해 중국 공산당은 세력을 확장했으며 소련으로부터 일제가 남긴 무기를 넘.. 밀리터리 2017. 5. 17. 더보기 ›› 일제가 패망 이후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일제는 2차세계대전에서 연합국측으로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패망하게 되었는데요. 하지만 일본은 패망 이후 엄청난 속도로 경제를 정상화시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제가 어떻게 급속도로 경제부활을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전쟁 1945년 일제가 패망 한 뒤 일본에는 주일미군이 들어가면서 GHQ라는 미군정이 일본을 통치했습니다. 일본은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엄청난 무기를 수출하였는데요. 경제학자들은 일본의 경제부활에 있어서 한국전쟁이 절호의 기회였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원조 미국은 일본을 단 기간 통치하면서 일본에 대한 원조를 지원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미국이 일본을 원조하게 된 이유는 소련,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의 경제를 최대한 빨리 복구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예시로 독일과 비슷한.. 밀리터리 2017. 5. 1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