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97

2차세계대전이 전 세계에 끼친 영향 5가지 2차세계대전은 일제와 나치 독일 그리고 이탈리아 왕국이 주축국이 되어 전세계 UN연합국과 세계대전을 치룬 국제전입니다. 크나큰 실수를 저지른 일본의 진주만 폭격으로 인하여 미국을 참전하게 만들었으며 일본의 실수로 인하여 세계2차대전의 결과는 연합국의 승리가 되었습니다. 독일 제3제국과 일본제국의 멸망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은 동맹 관계로 삼국동맹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나치 독일이 원래 계획했던 것은 폴란드만 공격하는것 이었다고 합니다.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공격하자 프랑스와 영국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게되었고 이로 인해 세계대전으로 번지게 된 것 이라고 합니다. 자연스럽게 대립 구도가 형성되면서 일본이 크나큰 실수 하나를 저지르게 되는데 그것이 미국의 2차세계대전 참전명.. 밀리터리 2017. 7. 4.
20세기 초 세계 강대국 반열에 오른 일본 제국이 멸망하게 된 이유 인류 역사 상 가장 멍청한 행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의 진주만 공격은 결국 일본 천황 히로히토의 무조건 항복이라는 옥음 방송이 전파되면서 패망하게 되었습니다. 20세기 초 세계 강대국 반열에 오른 일본 제국이 멸망하게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독일은 세계 열강 중 하나였던 프랑스를 단숨에 점령하면서 다른 유럽 국가들과의 전투에서 모두 승리하면서 유럽의 패자로 지위가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영국 역시 독일을 상대로 육지에 나오지 않고 본토를 방어하면서 독일에 대항했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일본은 독일의 세계 정복이 멀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즉, 독일은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유럽의 열강들을 모두 이기고 남은 적은 영국 본토에서 나.. 밀리터리 2017. 6. 26.
3차세계대전을 억제하고 있는 3대 군사조직 2차세계대전이 끝난 지 60년이 넘은 가운데 3차세계대전은 그야말로 인류가 멸망할 정도로 끔찍하다는 것이 군사전문가들의 평가라고 합니다. 1991년에 소련이 붕괴했지만 여전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은 전쟁가능이 제일 높지만 억제력도 가장 높은 곳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합니다. 3차세계대전을 억제하고 있는 3대 군사조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 태평양 사령부 미 태평양 사령부는 미국의 극동전선을 포함하여 아시아 일대를 관할하는 군사조직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미국의 전력 60%가 미국 태평양사령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 태평양사령부의 주 목적은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임무를 수행한다고 합니다. 미 태평양사령부는 미국의 전력 60%가 배치되어 있을 만큼 3차세계대전을 .. 밀리터리 2017. 6. 21.
미국이 북한을 붕괴시키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 5가지 4월 한반도 위기설과 더불어 미국은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한국에 CIA 코리아미션센터를 설립하여 북한 핵 미사일에 대한 감시를 철저하게 하겠다고 하였는데요. 미국이 북한을 붕괴시키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차세계대전 우려 미국은 2차세계대전 이후 3차세계대전을 방지하기 위해 무단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습니다. 또한 인류 최악의 시대라고 불리는 냉전시절을 겪으면서도 소련과 직통 전화 등을 통해 전쟁을 방지하고자 했는데요. 미국의 경우에는 북한을 붕괴시킬 경우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사회주의권 국가들과의 분쟁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입장으로써 국제사회의 타협과 협조를 통해 선제타격론을 현실화 시킬 수 있다곤.. 밀리터리 2017. 6. 20.
현대 한국인들이 베트남 전쟁을 바라보는 관점 2가지 베트남 전쟁은 한국군 전투병력이 파병이 되었을 만큼 한국전쟁과 더불어 냉전을 세계대전급 전쟁입니다. 베트남 전쟁이라는 것이 2차세계대전 이후 체재대립이 얼마나 극심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내전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관점 자주적인 통일 국가를 이룩하려고 했던 베트남 민족과 외세(프랑스, 미국 등)의 대결로 보는 구도입니다. 애초에 베트남 전쟁의 시작은 프랑스가 변화된 국제 정세를 무시하고 베트남을 계속 식민지로 유지하려고 하다가 시작된 것이라는 것인데요. 남베트남은 사실 상 프랑스가 만든 괴뢰국가에 불가하였으며 프랑스가 디엔비에누 전투의 패배로 인하여 베트남을 포기하고 철수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월남과 월북간에 합의되었던 1956년 남북통일총선거를 남베트남 정권이 거부하게 되.. 밀리터리 2017.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