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전쟁15 2차세계대전 이후 중국이 당사국으로 참전한 전쟁 6개 중국은 세계 군사력 3위의 군사강국이자 경제대국이며 소련이라는 강대국과 맞짱을 뜰 수 있는 굉장한 배짱을 가진 나라입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선포 이후 중화인민해방군이 개입했던 전쟁 또는 분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전쟁 (북한측으로 참전개입) 1946년 당시 2차세계대전이 끝난 직 후 세계는 사회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중국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을 선포했습니다.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에서 연합군이 참전하자 중국은 북한 김일성의 요청에 의해 중공 제4야전군을 중화인민지원군으로 개명하여 북한측에 참전하였습니다. 베트남전쟁 (북베트남측으로 참전개입) 베트남 전쟁은 공식적으로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며 중국군이 개입한 것은 3차 인도.. 밀리터리 2017. 6. 1. 더보기 ›› 미국이 한국전쟁을 '잊혀진 전쟁'이라고 부르는 원인 6가지 미국은 1950년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을 잊혀진 전쟁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 때문에 세계대전급 전쟁이라고 평가받는 한국전쟁을 미국에서 잊혀진 전쟁이라고 불리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 원인 한국전쟁 당시 미디어의 발달이 미흡하여 "미디어 전쟁"으로 불릴까지 불린 베트남 전쟁에 비해 언론의 관심이 적었다고 합니다. 미국 전쟁 보도 대부분은 여전히 2차세계대전과 마찬가지로 영화, 뉴스와 신문 그리고 라디오가 주력이었는데요. TV의 경우 미국 전역에 1950년 대부터 일반 가정에 막 보급될 무렵이었으며 대체적으로 1960년대부터 TV가 미국 전역에 보급이 완료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라디오와 신문으로 소식을 접해들을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 첫번째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합니다. 두번째 .. 밀리터리 2017. 5. 15. 더보기 ›› 북괴를 공포로 몰아 넣을수 있는 국군부대 6개 대한민국은 1950년 민족의 대참사인 한국전쟁을 겪었으며 베트남 전쟁을 겪었습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의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는데요. 북한에게 대한민국의 무서움을 알려줄 수 있는 국군부대 6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육군 제3보병사단 공식명칭은 육군 제3보병사단이며 국군 5군단 소속의 백골부대입니다. 백골부대라고 불리는 육군 제3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창군기에 창설된 8개의 초기사단 중 하나라고 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국군의 최선봉에서 북괴를 섬멸하였으며 1973년 북괴의 도발에 있어서 백린연막탄을 발사하여 북괴에게 공포를 심어준 사단입니다. 이른바 3.7 완전작전 이후에는 국군 3사단에 대응하기 위해 인민군 2개 사단을 배치할 정도로 북한 장교와 사관들이 가.. 밀리터리 2017. 4. 15. 더보기 ›› 세계 현대사에 영향을 준 대표적인 전쟁들 인류의 역사는 전쟁과 함께 이어져 왔으며 역사에 영향을 준 대표적인 전쟁들을 소개할까합니다. 세계 현대사에 영향을 준 대표적인 전쟁들 러일전쟁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까지 계속된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이었다. 러일전쟁의 주요 전쟁지역은 만주 남부 일대였으며 특히 요동반도와 한반도 근해였다. 이 전쟁은 일본과 러시아 간의 주도권이 불발되자 대한제국의 대한 독점적 영향력을 얻기 위해 선택한 전쟁이었다. 제1차세계대전 제1차세계대전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대전이며 2차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단순히 세계대전 또는 대전이라고 불렀으며 처음에는 미국에서 유럽전쟁이라고 불.. 밀리터리 2016. 12. 20. 더보기 ›› 한국전쟁 당시 국군 및 UN군이 사용했던 보병장비들 한국전쟁 초기에는 일부 구 일제가 두고 간 장비를 대체로 사용하였으나 이후에는 미국제 장비로 전부 대체되었다고 한다. 아리사카 1,2차 세계대전 동안 줄기차게 사용한 일본군의 주력 볼트액션 소총시리즈로 당시 육군 포병 공창에 소속되어 있었던 아리사카 나리아키라가 개발하여 아리사카 총으로 불린다. M1917 엔필드 1,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된 영국군 제식 볼트액션 소총으로 세계대전 발발의 여파로 오히려 먼저 사라져간 비운의 소총이지만 비운의 총이라기엔 이외로 널리 사용된 총이기도 하다. 스프링필드 M1903 미국이 개발의뢰를 하여 개발된 소총으로 저격용으로도 쓰이기도 하였다. 1903년에 개발된 소총으로 2차세계대전에서도 저격용으로 애용되었다고 하며 한발 씩 손으로 장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소총이라고 .. 밀리터리 2016. 12. 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