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베트남전쟁15

전사자로 본 미국의 10대 전쟁 초강대국 미국이 참여했던 전쟁 중 사상자가 제일 많은 전쟁을 간추려 10대 전쟁으로 해석해볼까합니다. 1755년, 미국 독립전쟁 1812년, 1812년 전쟁 1846년, 미국-멕시코 전쟁 1861, 미국 남북전쟁 1914, 제1차 세계대전 1939, 제2차세계대전 1950, 한국 전쟁 1960, 베트남 전쟁(미국이 패전한 유일한 전쟁) 2001, 아프가니스탄 전쟁(미국이 가장 오래한 전쟁) 2003,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사망자 23,000명) 미국 정부에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 축출과 오사마 빈 라덴을 체포하기 위한 전쟁이며 1조억 달러 이상의 전비를 쓰고도 15년 동안 지속되었던 전쟁 이라크전쟁 (2003년, 사망자 4,800명) 1990년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조지 허버.. 밀리터리 2016. 11. 23.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 파병부대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은 미국의 동맹국 자격으로 전투병력를 파견했고 병력 파견으로 인하여 미국으로부터 경제적 원조를 받았으며 월남전이 국내에서 상당부분 논란이 있었지만 1965년부터 1973년까지 8년에 걸쳐 최초로 전투병력을 파병한 전쟁이다. 8년동안 월남에 보낸 병력은 5만명이라고 한다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 파병부대 월남전 총사령부 주월 한국군사령부 (Headquarters of Republic of Korea Forces in Vietnam)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베트남 공화국에 주둔하고 있던 모든 한국군을 통솔했던 한국군 합동 사령부였다.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대한민국 국방부 일반 명령 제16호에 의거하여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창설되었다고 한다. 주월 한국군사령부의 .. 밀리터리 2016. 11. 7.
베트남 전쟁이 끼친 영향들 1950년 한국전쟁과 더불어서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전쟁으로 미국 역사상 최초로 패배한 전쟁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전쟁이다 베트남 전쟁은 공식적으로 볼 때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며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 2차는 미국과 연합국, 3차는 중국과의 전쟁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게 상당한 재정적자를 일으킨 전쟁이며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미국의 국력에도 한계가 있다" 라고 발언하게 만든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 날짜 : 1955년 11월 1일 ~ 1975년 4월 30일 장소 : 인도차이나 반도 결과 : 북베트남의 승리 베트남 전쟁이 끼친 영향들 미군의 베트남 철수 미군은 상당 수의 병력을 베트남 전에 참전을 시켰고 동맹국들 또한 베트남 전쟁에 대해 별코 관심을 보여주지 않았다 전통적인 동맹국인 영국.. 밀리터리 2016. 10. 10.
베트남 전쟁이 미국에 끼친 영향 1965년부터 미국 군은 베트남전에 본격적으로 참전하였는데 미군 군의 참전 규모는 상당하였고 호주, 뉴질랜드, 한국이 전투 병력을 파병하고 다른 국가들은 비 전투병 등을 파병하였다 중국과 소련은 공산세력에 대하여 무기원조 등 대규모 병력을 투입하게 된다 쉽게 말해서 미국과 중국의 규모를 위시한 한국전쟁을 포함한 대표적인 냉전시대의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 날짜 : 1955년 11월 1일 ~ 1975년 4월 30일 장소 : 인도차이나 반도 교전국 : 베트남 공화국, 미국, 한국 등 vs 베트남 민주 공화국, 중국 평가 : 당시 초 강대국이니 미국이 겪은 미국 역사상 최악의 굴욕 1차세계대전를 뛰어넘은 미국 군 사상자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은 대규모의 병력을 파병하였고 미군의 경우 베트남의 지리를 잘 파악하지.. 밀리터리 2016. 10. 10.
일제 해방이후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대한민국 국군의 시초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이다 혹은 국방경비대다 하는 이야기가 많이 있는데 국가정체성 탓에 광복군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대한민국 국방부 스스로는 국군의 뿌리는 의병과 광복군에 두고 있다 사실 독립 이후 국방경비대로부터 시작해서 대한민국 국군이 창건 되었을 때만해도 조선인 일본군 장교들이 대거 참여하여 미군식 교육을 받았지만 일본군식 스타일로 훈련시키고 체계를 완성했기에 실질적으로 국방부나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대한민국 국군의 시초는 한국 독립 광복군으로 시초를 정식적으로 두고있다 일제해방 이후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대한제국 ~ 일제해방 초기 대표적인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는 기본적으로 구 일본군이 남기고 갔던 피복류와 총기류 등을 사용했었으며 194.. 밀리터리 2016.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