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전쟁15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의 '3대 일간지'에 대해 알아보자 2017년 기준 미국의 언론 지수는 세계 43위지만 미국은 전 세계 초강대국으로써 그 영향이 어마어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미국의 영향력으로 인해 전 세계 언론들은 미국 언론들의 보도를 주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의 '3대 일간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의 신문사로 1877년 워싱턴 D.C에서 설립 된 일간지입니다. 또한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에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가장 오래 된 신문사이기도 하다고 하는데요. 워싱턴 포스트는 정통 일간지답게 정치, 경제, 국제, 예술 등에 대해 폭 넓게 다루지만 주로 정치 기사가 위주라고 합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2013년 8월 아마존닷컴의 창립자인 '제프 베조스.. 실시간 이슈 2018. 3. 10. 더보기 ›› 미국 역사 상 미국을 가장 떠들썩하게 했던 '펜타곤 페이퍼' 아시다시피 미국은 21세기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초강대국의 위치에 있는 국가입니다. 그런데 미국을 떠들썩하게 한 내용이 1970년 대 공개되면서 미국 내부는 그야말로 혼란 속에 빠지게 되었는데요. 미국 역사 상 미국을 가장 떠들썩하게 했던 '펜타곤 페이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펜타곤 페이퍼는 2차세계대전 때부터 1968년까지 인도차이나에서 미국이 수행한 역활을 기록한 보고서라고 합니다. 이 '펜타곤 페이퍼'라는 것은 1967년 미국 국방부 장관을 지낸 '로버트 맥나마라'의 지시와 책임 아래 작성되었다고 하는데요. '펜타곤 페이퍼'라고 하는 문서는 총 47권에 이르는 약 3,000쪽의 설명과 4,000쪽의 부속 문서로 이루어져 있어 완성하는데만 1년 6개월이 걸렸다고 합니다. '펜타곤 페이퍼'는.. 밀리터리 2018. 3. 10. 더보기 ›› 대한민국과 전쟁했던 국가 4개 한국군은 한국의 정규군으로 일반적으로 국군이라고 통칭하며 육군, 공군, 해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 헌법 상 한국군의 통수권자는 대통령으로 한국군은 국가 방위에 있어서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북한 (한국전쟁) 한국전쟁은 김일성의 북한군이 불법 남침을 감행하였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일어난 전쟁입니다. 한국전쟁은 사회주의권 세력과 자본주의권 세력이 한반도에서 치룬 전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북한은 국가로 규정하면 안되지만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기 때문에 포함시켰습니다. 또한 한국전쟁은 근간접적으로 물자지원, 병력 파병의 국가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내전이 아닌 국제전으로 보는 성향이 있다고 합니다. 베트남 (베트남 전쟁) 한국군은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전쟁) 당시 전투병을 .. 밀리터리 2017. 12. 22. 더보기 ›› 베트남 전쟁이 한국에 끼친 영향 4가지 한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베트남 전쟁의 명칭은 월남전이며 현재까지도 국군에서 만든 자료에서 월남전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베트남전쟁을 평가하기로는 더러운 전쟁(Dirty War) 또는 아편전쟁, 이라크전쟁과 더불어서 목적, 명분이 없는 전형이자 미국이 전투에서 이기고도 패배한 첫번째 전쟁이라고 평가한다고 합니다. 어마어마한 외화벌이 한국은 베트남 전쟁 참전으로 인하여 엄청난 경제적 이득을 보았고 참전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어마어마한 외화를 벌여들였습니다. 비록 베트남 전쟁은 패배한 전쟁이기는 하지만 당시 유신 정권은 새마을 운동을 앞세워 한국의 경제발전을 이룩해나가고 있었습니다. 당시 한국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분명 유신 정권에서는 외화가 많이 필요했을텐데요. 한국군의 .. 밀리터리 2017. 6. 23. 더보기 ›› 베트남 전쟁이 참전용사들에게 잊을 수 없는 이유 3가지 한국은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에 주둔하던 중복 병력을 포함하여 약 30만 명의 국군 병력을 파병했다고 합니다.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한국 국내에서 벌어졌던 베트남 전쟁 이후 논란들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명피해 베트남 전쟁 당시에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군의 병력은 8년 간에 걸쳐 비전투 병력까지 30만 명이라는 많은 용사들이 참전했습니다. 또한 30만 명 중 5,000명 가까이 전사하거나 실종되었으며 7,000명이 부상당했다고 합니다. 이 문제는 유신 정권에서 이중배상금지법을 통과시키면서 유가족들에게 엄청난 비난을 샀고 국내에서도 유족들을 위로하는 형태가 구성되었다고 합니다. 이중배상금지 이중배상금지 법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 최악의 악법 중 하나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중배상금지법은 유신.. 밀리터리 2017. 6. 12.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