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박정희8

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악의 전직 대통령 순위 TOP5 대한민국은 일제 해방 이후 건국되었으며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입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국가로 대통령제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악의 전직 대통령 순위에 대해 매겨보도록 하겠습니다. 1위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상해 임시정부의 대통령을 하다가 탄핵 당한 전력이 있다고 합니다. 이승만은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자신의 반대세력에 대해서는 무자비했으며 이는 대통령이 되서도 이어졌다고 하는데요. 이승만은 권력을 지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으며 친일파들이 대한민국의 권력을 다시 잡게 만들어 준 장본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승만은 대한민국 초대대통령으로써 최초로 하야한 대통령이기도 한데요. 대체적으로 독립운동가들을 비롯하여 한인 1세대 .. 실시간 이슈 2018. 5. 20.
미국을 발칵 뒤집어놓은 '코리아 게이트' 사건 1976년 미국 전역이 난리가 났으며 한국에서는 이를 '코리아 게이트'사건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국 언론은 이 사건을 '코리아 게이트' 사건보다도 '박동선 사건'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요. 미국을 발칵 뒤집어 놓은 '코리아 게이트' 사건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976년 재미 한국인 실업가인 '박동선'이 미국 의회에 로비를 했다는 사실이 '워싱턴 포스트'의 단독 보도로 미국 내부에는 엄청난 논란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사실 1976년 이전부터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는 미국 의회에 알게 모르게 로비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는 상황이었다고 하는데요. 1976년 '코리아 게이트' 사건이 미국 내부에서 논란이 된 것은 한국의 실상에 대해 '중앙정보부' 요원이었던 이재현이 .. 밀리터리 2018. 5. 11.
준 핵보유국 대한민국이 핵 개발을 전면 중단한 이유 대한민국은 핵 개발을 비공식적으로 진행했던 국가로 전 세계 군사전문가들은 대한민국을 준핵보유국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준 핵보유국으로 평가받는 대한민국이 핵 개발을 전면 중단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재임했을 당시 북한과의 군사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핵 무기 개발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이 비공식적으로 핵 개발을 진행한다는 소식을 듣고 대한민국 정부에 핵 개발을 전면 중단하라는 요구를 보내게 되는데요. 하지만 박정희 정부는 미국 정부에 한미관계가 악화된다고 해도 우리는 "핵을 개발할 것!"이라며 미국과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의 총에 의해 사망.. 밀리터리 2017. 10. 19.
대한민국에 다시는 군부 쿠데타가 일어날 수 없는 이유 대한민국에 민주정부가 수립 된 것은 김영삼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부터 입니다. 또한 대한민국은 건국 이후 절반 이상을 군부세력이 장악하여 대한민국을 통치했다고 할 수 있는데요. 대한민국에 다시는 군부세력이 쿠데타를 일으킬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4.19혁명 이후 5.16 군사정변을 통해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수 많은 업적을 세웠지만 독재자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12.12 군사쿠데타는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전두환의 신군부가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차지하고 최규하 대통령을 강제로 사임하게 되었는데요. 12.12 군사쿠데타 당시 전국에서는 전두환의 신군부를 반대하는 시위가 곳 곳에서 일어났다고 합니다. 또한 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망자가 발생했고 부상자.. 밀리터리 2017. 8. 5.
5.16 군사정변 당시 어떤 반응들이 있었을까? 5.16 군사정변을 시작으로 한국에는 약 30년 간 군부가 통치하는 시대였습니다. 노태우 정부를 끝으로 군부의 통치가 막을 내리고 김영상 전 대통령을 시작으로 민주정부가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국내 지식인들의 반응 5.16 군사정변 이후 당시 지식인들은 군부의 정변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유는 당시 제3세계에서 발생했던 군사정변 대부분이 민족주의적, 개혁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지식인층이 정변을 호의적이었던 것은 지식인들이 4.19혁명 이후 3.15 부정선거가 제대로 청산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완의 혁명에 대한 일종의 책임감과 자성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1962년 4월 16일자 연세춘추에서 실시한 대학생 여론조사에서는 앞으로 이양되어 수.. 밀리터리 2017.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