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97

북한이 만들어주는 미국의 선제타격 명분 6가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의 핵무기 압박에 대해 강도를 점 점 올리고 있습니다. 미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 역시 미국의 대북압박에 동참한다는 공식 발표를 하였는데요.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감행한다 하더라도 국제사회로부터 명분을 인정받을 수 있는 6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 거주 30만 미국인의 안전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은 주한미군 가족들을 포함하여 약 3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부의 군사전문가들은 1994년 제1차 북핵위기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북한 선제타격에 대한 입장을 바꾸면서 선제타격을 감행하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현재 미국의 강경한 대북압박에 있어서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들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한 명분으로 앞세울수도 있다고 합니다. 즉, .. 밀리터리 2017. 4. 14.
북한이 미국을 건들여 세계 지도에서 사라질 뻔 했던 사건 3가지 북한은 남한에 대한 대남도발을 감행하면서 미국에 대한 도발을 감행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은 미국을 건들때마다 공식사과문을 발표하는 등의 행동을 취하면서 미국의 분노를 가라앉히는 행동을 하였는데요. 최근에는 북핵문제에 있어서 미국이 현실적인 군사행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북한이 세계지도에서 사라질 뻔 했던 사건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 1950년 6월 25일 김일성은 남한에 대한 불법남침을 감행했습니다. 미국의 애치슨 라인이 포함되지 않은 남한을 미국이 보호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일으킨 전쟁이라고 하는데요. 미국은 남한의 공산화를 막고자 병력을 파병하였고 국군과 함께 부산을 지켜냈습니다. 이후 국제연합의 남한에 대한 파병승인이 통과되면서 국제연합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하였는데요.. 밀리터리 2017. 4. 14.
시진핑이 미국의 북핵압박에 동참하는 이유 미국의 항공모함 칼빈슨 호는 한미연합훈련을 마친 후 주둔지로 돌아가던 도중 한반도로 회항했다고 합니다.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 호는 15일에 한반도로 진입할 것이라고 하는데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북핵제재에 동참을 기대한다고 발언 하였으며 실제로 중국은 북핵제재에 동참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미국의 북핵압박에 동참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진핑의 당 내부 정치적 타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국가 주석 재임을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중국 국가 주석의 위치에서 북핵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중임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시진핑 국가주석이 북한의 핵 무기에 대해 해결하지 못하고 전쟁으로 상황이 번지게 될 경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 밀리터리 2017. 4. 14.
북한 김정은이 트럼프를 무서워하는 진짜 이유 6가지 미국은 공화당 출신의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인내심은 끝이 났다고 공식발표했습니다. 북한 김정은이 트럼프를 무서워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 김정은이 트럼프를 무서워하는 진짜 이유 6가지 미국 공화당 출신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공화당 출신의 대통령입니다. 미국 공화당은 미국에서도 보수를 대표하는 정당이라고 하는데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인내는 끝났다면서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최근 시리아에 토마 호크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보면 진지하게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공화당의 이력 미국 공화당 출신 대통령들은 미국의 국익 또는 위협이 된다고 규정 할 경우 미국의 무.. 밀리터리 2017. 4. 10.
중국군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하는 이유 4가지 최근 일본의 산케이 신문은 중국 동북군구의 대규모 병력이 북한과 중국의 국경일대에 전진배치를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북한군은 압록강변에서 도하 훈련을 실시했다고 하는데요. 중국군은 이에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훈련이라고 발표했다고 합니다. 중국 핵심 주력이라고 불리는 동북군구의 병력이 움직인 것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이후 움직이었다고 하는데요. 우리가 중국군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하는 이유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 변화에 따른 북한 진입시도 한국과 일본의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이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북한 내부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일본 산케이 신문이 중국군의 압록강변 도하 훈련을 보도하면서 급변사태가 일어날지 모른다는 한국 .. 밀리터리 2017.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