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97

국공내전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 중국은 제2차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 동아시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이후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동아시아의 체제성립 중국은 제2차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 동아시아에서 완전한 체제구도를 성립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 냉전시대라는 시대적 경쟁구도를 본다면 제2차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한 것은 현재까지도 동아시아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반도 분단 중국 국공내전 이후 중공군은 북한 측에 병력을 파병하여 미군과 국제연합군을 상대로 현재의 휴전선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참전으로 인해 한반도 분단이 생긴 것을 감안한다면 중국 국공내전은 한반도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 밀리터리 2017. 4. 26.
실질적으로 미국을 세계 초강대국으로 올려놓은 인물 현재 미국은 초강대국으로 전 세계에 병력을 파병하여 세계 평화에 이바지 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미국을 상대할 수 있는 국가는 없다는 것이 전 세계 군사전문가들의 평가인데요. 미국을 초강대국이라는 위치에 실질적으로 올려놓은 인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국을 실질적인 초강대국의 위치에 올려놓은 인물은 바로 미국의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입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 민주당 소속으로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4번 대통령을 지낸 사람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200년이 넘는 미국 헌정 사상 3번 이상 대통령을 한 인물은 조지 워싱턴 초대 대통령을 제외하고 루스벨트 대통령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미국은 당시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여파로 경제적으로 대공황에 빠져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1차 세계.. 밀리터리 2017. 4. 23.
북한은 절대로 핵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지 않을것이다. 세계 언론들은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 집중 보도를 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 실험은 김정은 집권 이후 5차례 실행했습니다. 특히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이 핵 미사일을 개발해야만 북한 정권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핵 실험은 반드시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6차 핵실험으로 예상하고 있었던 4월 15일 북한의 태양절(김일성의 생일)로 추정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예상일이었던 4월 15일에 핵 실험을 감행하지 않았는데요. 북한은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맞서는 행동을 취하면서도 우리도 미국에 대해 선제타격을 감행할 수 있다라는 형식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북한의 핵 실험 진행일로 예상하고 있었던 4월 15일에 북한이 핵 실험을 하지 않자 미국의 압박이 통한건가라는 생각도 잠시였습니다. 북.. 밀리터리 2017. 4. 22.
중국이 2차 한국전쟁에 참전할 수 없는 이유 5가지 중국은 한국전쟁 당시 인민지원군이라는 명칭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습니다. 당시에는 체제위협으로 인해 중국은 북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여 참전했는데요. 현재 중국이 한반도 급변상황시 병력을 파견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 공군의 중국본토 폭격 현재 미국은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차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될 경우 체계적인 증원시스템을 세워놨다고 하는데요. 중국이 만약 동맹이라는 명분으로 북한을 지원하게 될 경우 중국 본토는 미 공군의 폭격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아무리 중국이 해군력을 증강시키고 있다고 하지만 중국군은 미 해군과 미 공군의 전력면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본토의 폭격으로 인한 피해를 생각한다면 중국이 북한을 지원할 수 없다는 .. 밀리터리 2017. 4. 21.
북한의 붕괴가 국제정세에 미치는 영향 5가지 얼마 전 4월 15일에는 북한이 태양절을 맞이해서 핵 실험을 감행할 것이라는 보도가 많았습니다. 결국 북한은 4월 16일에 핵 실험을 감행했는데요. 4월 한반도 위기설과 연관되어 있는 북한 붕괴가 국제정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아시아 평화시대 개막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이 붕괴 할 경우 동아시아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쟁 위기는 모두 해소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동아시아의 평화시대가 개막하면서 동아시아 전체에 경제부흥 역시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북한 핵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추측을 내놓는 것이라고 하네요. 신냉전의 본격적 개막 1991년 소련의 붕괴로 2차세계대전 이후 시작되었던 냉전시대를 막을 내렸습니다. 현재 세계 정세는 .. 밀리터리 2017.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