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립군8

대한민국 독립투쟁사에 한 획을 그었던 독립군 사관학교 신흥무관학교는 무장독립군 양성기관으로 1911년 서간도(길림성 류하현)에서 개교하였다고 합니다. 신흥무관학교는 현재 경희대학교의 전신이라고 하는데요. 신흥무관학교의 졸업생들은 서로군정서 의용대, 조선혁명군, 대학독립군,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등에 참여하면서 활동했다고 합니다. 신흥무관학교는 무장 독립운동의 한 축을 차지하며 민족 해방에 크게 기여한 사관학교라고 볼 수 있으며 한국 독립투쟁사에 있어서 한 획을 그을정도로 크게 기여했습니다. 신흥무관학교 설립배경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항일 의병전쟁과 같은 무장저항이 있었고 을사조약 체결 전, 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에 의병활동이 활발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제는 조선인을 학살하고 마을을 불태우는 등 잔혹하게 진압작전을 실행했습니다. 결국 1910년 .. 밀리터리 2017. 7. 11.
우리가 잘 모르는 2차세계대전에 참전했던 대한독립군 2차세계대전은 인류 역사를 크게 바꾼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당시 나라를 잊은 한민족 역시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일제에 맞서 싸웠다고 하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측에서 일제와 치열하게 전쟁했던 대한독립군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대한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대한독립군은 중화민국 정부와 협력하여 일제에 대항하여 중일전쟁에 참전하였습니다. 물론 일제강점기로 나라를 빼앗겼기 때문에 중화민국 소속으로 참전을 하게 된 것이죠. 김구 선생이 이끌던 대한민국 상해 임시정부는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일제를 패망시켜야만 조국이 해방할 수 있다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또한 영국 정부의 요청으로 중화민국군 소속으로 버마 전선에서 일제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영국.. 밀리터리 2017. 4. 26.
우리가 백범 김구 선생을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 4가지 백범 김구 선생은 독립군의 아버지이자 민족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패망 이후 남한으로 귀국한 김구 선생은 타살로 생을 마감하셨는데요. 김구 선생 사망 이후 장례식은 국민장으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3.1 운동의 전통 계승자 백범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인 1919년 3.1 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써 대한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는데요. 현재 대한민국의 헌법에는 대한민국은 상해 임시정부를 계승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은 상해 임시정부에서 지도자로 활동했습니다. 상해 임시정부는 대체적으로 무장 독립단체들과 많은 협력을 하였는데요. 특히 독립군은 미군과의 연합작전인 '독수리 작전'을 실행해 일제로부터 해방하려고 .. 밀리터리 2017. 2. 1.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안녕하세요. 대첩이라는 뜻은 전쟁 중 또는 전투에서 아군이 적을 크게 이겼을 때 쓰는 말로 일반적인 전투보다 높은 단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대전과도 의미가 약간 겹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살수대첩 (612년) 612년 고구려 영양왕 시절 살수(현재의 청천강)에서 고구려 장군인 을지문덕 장군의 주도 아래 이루어낸 대첩으로 2차 여수전쟁의 대표적인 전투 중 하나이며 고구려 원정군 중 2,700명을 제외하고 궤멸당했다고 합니다. 수양제는 2차 고구려침공 이후 3차, 4차 침공을 계속했으나 결국 고구려 정벌에 실패하였으며 무리한 고구려 정벌로 인하여 수나라가 패망하게 되면서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습니다. 귀주대첩 (1019년) 1019년 2월에 고려 강감찬 장군이 이끄는 고려군이 .. 밀리터리 2016. 12. 6.
독립군 출신 오성장군 김홍일 장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전 군인, 정치인이다 고향은 평안북도 용천군이라고 하며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였고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가 패망하자 조선으로 돌아와서 대한민국 육군 창군에 참가하였고 한국전쟁 초반에 기적을 일으켰던 전설의 오성장군 김홍일 (1989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가 김홍일 장군 일제강점기 시절 중화민국(현 대만)으로 망명하여 1920년에 중국 구이저우 성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화민국의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하여 조선 독립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23년에는 상해 임시정부 한국 의용군 사령관을 지냈다 중일전쟁 당시 중국 국민당 소속으로 일제와 전쟁을 하였으며 특히 보급분야에서 상당히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고 알려져 있다 .. 밀리터리 2016. 1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