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립군8 일제에 대항하는 독립군 3개 핵심조직들 한국의 독립군은 하나의 단체라고 단정짓는 것보다 일제에 저항하거나 일제와 무력으로 대항하는 준군사조직의 통칭이며 독립군 핵심조직들은 1910년 이후로 일제의 영향이 약한 만주로 근거지를 옮겨갔으며 1945년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완벽하게 해방될 때까지 지속되었고 해외에서 조직하여 만주의 독립군들에게 군자금을 보내주는 한인1세대 이주민들의 독립군 단체들도 있었으나 국내와 만주 일대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조직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상해 임시정부 (한국 임시 망명정부) 임시정부 선포일 : 1919년 4월 13일 장소 : 중화민국 상하이 시 1차세계대전 이후 파리 강화 회의가 열리자 상해에서 신한청년당이 결성되었고 신한청년당은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로 김규식을 파견하였으며 세계 각 국의 회의에 참여하자 .. 밀리터리 2016. 10. 9. 더보기 ›› 일제 해방 이전까지의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한국의 고대역사에서는 동북아시아를 평정하며 만주지역을 지배했던 고구려와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을 지배했던 백제의 경우에도 대륙백제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구체적인 군사조직의 기록이 나타났으며 일본제국으로 부터 독립하기 이전까지의 대한민국의 국군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제 해방이전까지의 한국 국군의 역사 고대 (고조선 ~ 삼국시대) 고조선시대의 군사조직에 대해 자세히 남아있지는 않으며 대체적으로 역사학자들은 유물을 통하여 대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비파형 동검과 세형 동검과 같은 청동검과 돌 또는 짐승뼈로 만든 화살촉을 사용했다는 정도이며 위만조선이 세워지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철기문명을 받아들이면서 철제무기로 무장을 하기 시작하였다삼국시대에는 군사문화에 대해 기록이 등장하는데 고대.. 밀리터리 2016. 10. 1. 더보기 ›› 일제를 쳐부수자! 위대한 대한독립군 지도자 4인 일본제국의 강제 침탈로 인하여 조선이라는 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독립운동가들과 대한제국의 많은 백성들의 독립에 대한 정신적 지주였던 대한독립군 위대한 지도자 4인데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범 김구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일제강점기 시절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이며 1919년에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임시정부를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1940년에는 상해 대한제국 임시정부 주석에 선출 되었다 기본적으로 백범 김구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졌던 인물로 평가하고 있으며 임시정부의 마지막과 처음을 이끌었던 지도자로 평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상해임시정부에서 근무하면서 대한독립군을 포함한 대한제국의 국민들에게 정신적지주였으며 1949.. 밀리터리 2016. 9. 3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