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98 일본의 재 침략! 정유재란과 강화회담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군은 이치전투에서 권율장군이 지휘하는 조선군에게 패배하고 진주목사 김시민이 진주성을 방어하여 진주성 함락을 실패하자 조선의 전라도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그러다보니 일본군 내부에서도 더 이상 진격하기 힘드니 물러서자는 분위기 였다고 하며 진주성이 함락되었던 2차 진주성전투(1593년 6월)에는 일본군이 물러나는 가운데 히데요시의 김시민에 대한 분풀이와 일본군의 세력과시를 위해 벌어진 전투이지만 1차 진주성전투와는 달리 6~7천명 정도의 수비병력으로 방어전에 나섰으나 9만이 넘는 일본군을 상대로 9일동안이나 항전했으나 갑작스런 폭우로 성벽 일부가 무너지면서 성이 함락되었다 하지만 일본군 역시 성을 함락하는데 있어서 병력과 여러방면에서 피해가 심각했다고 한다 김덕령, 곽재우, .. 밀리터리 2016. 10. 2. 더보기 ›› 일제 해방이후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대한민국 국군의 시초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이다 혹은 국방경비대다 하는 이야기가 많이 있는데 국가정체성 탓에 광복군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대한민국 국방부 스스로는 국군의 뿌리는 의병과 광복군에 두고 있다 사실 독립 이후 국방경비대로부터 시작해서 대한민국 국군이 창건 되었을 때만해도 조선인 일본군 장교들이 대거 참여하여 미군식 교육을 받았지만 일본군식 스타일로 훈련시키고 체계를 완성했기에 실질적으로 국방부나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대한민국 국군의 시초는 한국 독립 광복군으로 시초를 정식적으로 두고있다 일제해방 이후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대한제국 ~ 일제해방 초기 대표적인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는 기본적으로 구 일본군이 남기고 갔던 피복류와 총기류 등을 사용했었으며 194.. 밀리터리 2016. 10. 1. 더보기 ›› 일제 해방 이전까지의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한국의 고대역사에서는 동북아시아를 평정하며 만주지역을 지배했던 고구려와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을 지배했던 백제의 경우에도 대륙백제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구체적인 군사조직의 기록이 나타났으며 일본제국으로 부터 독립하기 이전까지의 대한민국의 국군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제 해방이전까지의 한국 국군의 역사 고대 (고조선 ~ 삼국시대) 고조선시대의 군사조직에 대해 자세히 남아있지는 않으며 대체적으로 역사학자들은 유물을 통하여 대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비파형 동검과 세형 동검과 같은 청동검과 돌 또는 짐승뼈로 만든 화살촉을 사용했다는 정도이며 위만조선이 세워지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철기문명을 받아들이면서 철제무기로 무장을 하기 시작하였다삼국시대에는 군사문화에 대해 기록이 등장하는데 고대.. 밀리터리 2016. 10. 1. 더보기 ›› 일제를 쳐부수자! 위대한 대한독립군 지도자 4인 일본제국의 강제 침탈로 인하여 조선이라는 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독립운동가들과 대한제국의 많은 백성들의 독립에 대한 정신적 지주였던 대한독립군 위대한 지도자 4인데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범 김구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일제강점기 시절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이며 1919년에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임시정부를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1940년에는 상해 대한제국 임시정부 주석에 선출 되었다 기본적으로 백범 김구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졌던 인물로 평가하고 있으며 임시정부의 마지막과 처음을 이끌었던 지도자로 평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상해임시정부에서 근무하면서 대한독립군을 포함한 대한제국의 국민들에게 정신적지주였으며 1949.. 밀리터리 2016. 9. 30. 더보기 ›› 최초로 화포를 사용한 해전! 진포대첩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벌어지고 당시 정체가 불 분명한 왜구(일본의 해적세력)들이 고려의 전역을 유린하고 있을 무렵 고려 우왕 6년에 벌어진 대규모해전이며 당시 고려 남쪽지방을 어지럽히던 왜구를 격파한 전투로 황산대첩과 더불어서 고려 말의 전투로 유명하다 발생일자 : 고려 우왕 8년 1380년 8월 전쟁지역 : 충청남도 서천 (고려) 교전국 : 고려 vs 왜구(일본의 해적세력) 병력 : 고려측 군함 약 100척 vs 왜구측 군함 약 500척 결과 : 고려 수군의 대승 어떻게 왜구(일본의 해적세력)들이 500척의 대함대를 꾸렸나? 당시의 왜선 500척은 왜구의 역사를 통틀어도 가장 압도적인 규모에 속하는데 어떤식으로 대규모 함대가 등장했는지 확실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일본 큐슈지방의 남조세력이 다카기, 아마.. 밀리터리 2016. 9. 3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 4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