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전쟁123

독립군 출신 오성장군 김홍일 장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전 군인, 정치인이다 고향은 평안북도 용천군이라고 하며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였고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가 패망하자 조선으로 돌아와서 대한민국 육군 창군에 참가하였고 한국전쟁 초반에 기적을 일으켰던 전설의 오성장군 김홍일 (1989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가 김홍일 장군 일제강점기 시절 중화민국(현 대만)으로 망명하여 1920년에 중국 구이저우 성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화민국의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하여 조선 독립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23년에는 상해 임시정부 한국 의용군 사령관을 지냈다 중일전쟁 당시 중국 국민당 소속으로 일제와 전쟁을 하였으며 특히 보급분야에서 상당히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고 알려져 있다 .. 밀리터리 2016. 11. 1.
중국이 한국전쟁에 참전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들 중국 공산당은 중국 내전인 국공내전을 승리하였고 중국 국민당은 타이완 섬으로 도망가서 정부수립 선포를 하였으나 한반도 이북에 위치한 조선 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전체를 적화시키려고 했으며 결과적으로 1950년 6월 25일 북한 인민군은 불법남침을 시작으로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이에 중국은 한반도의 전쟁을 지켜보는 입장이 되어있었다 중국이 한국전쟁에 참전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들 북한의 전쟁준비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에 대한 문제 북한의 김일성은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이전부터 소련과 중국의 원조를 받아 전쟁 준비를 한 것으로 공식화되어 있는데 당시 UN연합군, 미군이 남한측으로 참전하면서 북한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버리자 중국의 입장에서는 지원병을 파병하지 않으면 북한의 전쟁물자를 지원했다는 빌미로 연합군과 .. 밀리터리 2016. 10. 29.
한국전쟁에서 한국을 지켜준 월튼 워커 중장 1912년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1차세계대전에서 기관총부대의 중대장으로 참전한 것으로 군생활을 시작했고 2차세계대전에서는 조지 S.패튼이 지휘하던 제3야전군 산하의 20군단장으로 참전했는데 빠른 기동성과 활약으로 월튼 워커가 지휘하는 부대의 별명이 '유령군단' 이라고 불릴 정도였으며 다만 나이에 비해 진급이 늦었다는 평을 들었으나 한국전쟁에서 보듯이 비정치적이었고 기자들이나 외부인사들의 방문을 아주 싫어 했다고 한다 월튼 해리스 워커(Walton Harris Walker) 1889년 12월 3일 ~ 1950년 12월 23일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이 살아남을 수 있게 해준 2세대 영웅들의 아버지" "맥아더와 더불어 한국전쟁에서 가장 큰 공로를 세운 인물" 6.25 한국전쟁 참전 월튼 워커 중장.. 밀리터리 2016. 10. 29.
북한이 전쟁을 일으킬수 없는 6가지 이유 현재 북한은 3대 통치자인 김정은이 북한을 통치하고 있으며 현재 상당수의 북한 주민과 고위급 관리들이 한국으로 망명을 하거나 제3국 그리고 미국으로 망명을 시도하고 있으며 현재도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북한 독재자 김정은이 전쟁을 일으킬수 없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북한이 전쟁을 일으킬수 없는 6가지 이유 북한 내부의 실상과 탈북 2016년 기준으로 북한을 탈북하여 한국으로 입국한 인원이 3만명이 넘어가는 추세이며 북한 당국에서도 북한을 탈북하는 인원이 급증함에 따라 국경경비를 강화하는 등의 태도를 보인바 있으나 실제로 굶어죽는 북한의 주민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북한이 전쟁을 일으켜버린다면 그나마 입에 풀칠이라도 하는 주민들까지 굶어죽게 만들수 있음으로 북한은 절대로 전쟁을 일으킬 수 없다는 결론이라고 볼 .. 밀리터리 2016. 10. 26.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자신있게 참전한 이유들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의 공식명칭은 중국인민지원군으로 중국측에서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UN연합군과 미군이 38도선을 넘는다면 중국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겠다는 통성명을 내었지만 연합군 사령관 맥아더가 무시한체 38도선을 넘어버리면서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주더 등의 중국의 수뇌부들이 여러가지 승산을 보고 1950년 10월 8일에 한반도 출병을 결정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자신있게 참전한 이유들 중국 공산당 내부의 파병 결정 당시 중국 공산당은 북한 공산당과의 상당한 의리가 작용되는데 중국 내전인 국공내전에서 중공군이 수세에 밀렸던 1946년 ~ 1948년 사이에 북한측이 중국 공산당 고위급 인사들의 가족들과 부상병들을 수용해주었고 특히 만주지역에서 국민당군에게 쫓기던 인민해방군이 북한지역.. 밀리터리 2016.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