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군28

한국전쟁 당시 국군 및 UN군이 사용했던 보병장비들 한국전쟁 초기에는 일부 구 일제가 두고 간 장비를 대체로 사용하였으나 이후에는 미국제 장비로 전부 대체되었다고 한다. 아리사카 1,2차 세계대전 동안 줄기차게 사용한 일본군의 주력 볼트액션 소총시리즈로 당시 육군 포병 공창에 소속되어 있었던 아리사카 나리아키라가 개발하여 아리사카 총으로 불린다. M1917 엔필드 1,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된 영국군 제식 볼트액션 소총으로 세계대전 발발의 여파로 오히려 먼저 사라져간 비운의 소총이지만 비운의 총이라기엔 이외로 널리 사용된 총이기도 하다. 스프링필드 M1903 미국이 개발의뢰를 하여 개발된 소총으로 저격용으로도 쓰이기도 하였다. 1903년에 개발된 소총으로 2차세계대전에서도 저격용으로 애용되었다고 하며 한발 씩 손으로 장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소총이라고 .. 밀리터리 2016. 12. 7.
대한민국 육군 전차 전력 안녕하세요. 세계 군사 순위 11위인 한국 육군의 전차 전력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한국군의 전차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육군 전차전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육군 전차 전력 1. M48A3k "패튼" 전차 - 약 350여대 추정 현재 한국군의 가장 낮은 등급의 1세대 전차로 M48A3 모델을 한국군에 맞게 개량한 모델이라고 합니다. 90mm 강선포를 장착하고 있어서 화력은 105mm나 120mm 주포 전차보다 훨씬 떨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의 전차보다 검증된 1세대 MBT(주력전차)로 한국군이 오랫동안 써왔다고 하네요. 현재는 대한민국 주력 기계화보병사단의 전력에서는 제외되어 후방에서 사용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2. K1 / K1E1 (3세대 전차) - 약 1,02.. 밀리터리 2016. 12. 5.
한국군 기본 제식 무기 K시리즈 보병화기 한국은 세계 9위의 군사과학 기술국이며 세계 10위의 무기 수출국이다. 한국에서 개발한 소총들은 전 세계에 수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군 기본 제식 무기 K시리즈 보병화기 K1 소총, 기관단총 한국 최초의 독자 개발화기로 인입식 개머리판이다. 좋은일인지 나쁜일인지 남미의 마약조직도 사용하는 소총이라고 한다. K2 자동소총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으로 이라크에 수출한 것이 IS가 간혹 들고 다닌다고 한다. 1984년부터 대한민국 국군에 보급되었으며 미 M16 콜트사와 소송까지 벌인 소총이라고 한다. K3 경기관총 미제 M60을 대체하기 위하여 FN Minimi를 바탕으로 개발하였으며 1990년부터 한국군에 배치되기 시작하였고 무게는 7Kg의 경기관총이다. K4 고속유탄기관총 미국 MK19의 복사판으로 .. 밀리터리 2016. 11. 27.
2016년 대한민국 국군의 군사력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강력한 힘은 바로 군사력입니다. 과연 대한민국 국군의 군사력은 어느정도인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육군 육군병력 : 49만 5천여명 육해공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조직으로 24개의 사단과 14개 기동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차 : 2400여대 육군의 주력무기이자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지상전의 황제 전차입니다. 대한민국 육군은 K-1, K1A1과 세계 최고수준의 K2흑표전차 등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장갑차 : 2700여대 병력수송과 전투를 위한 차량으로 대한민국 육군에서는 K-200과 막강한 화력의 K-21등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야포 : 5,600여문 야포는 야전에서 사용되는 포로써 견인포, 자주포 등을 말합니다. 특히 대한민국 육군이 보유.. 밀리터리 2016. 11. 26.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 레전드 지휘관 3인 명장이란 뛰어난 지휘관을 뜻하는 말로 국가에 큰 공을 세우거나 특유의 지휘능력으로 국가를 구하거나 국가를 위기에서 구한 사람들 대체적으로 명장이라고 일컫는다. 한국전쟁 당시 유명한 지휘관들은 많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친일행동을 했던 사람들도 존재하고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여 일본군에서 군복무를 하였기 때문에 친일행적이 있는 인물들은 제외하였으니 양해해주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 레전드 지휘관 3인 김홍일 장군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 중일전쟁 당시 중국 국민당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중국 국민당 소속으로 일본군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기도 하였고 해방 이후 남한으로 들어왔으며 1948년 12월 10일에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지시로 대한민국군 육군 중장으로 임관되었다. 한국전.. 밀리터리 2016.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