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일신라8

역사학계에서 보는 고대 한반도 통일전쟁 시작설 4가지 삼국통일전쟁은 고대 한반도 3개 국의 성장에 따라 3개 국사이에 벌어진 장기간의 전쟁을 말한다고 합니다. 삼국통일전쟁은 3개 국의 대립과 동시에 동아시아의 많은 나라와 종족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국제전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역사학계에서는 고대 한반도 삼국통일전쟁 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삼국통일전쟁 시기를 서술하려면 자연적인 시간의 흐름에서 어느시기를 정해 전쟁기로 특정화 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발표 되었다고 합니다. 4세기 후반설 4세기 전반에 낙랑군과 대방군이 멸망한 후 국경을 접하게 된 고구려와 백제가 옛 중국 군현지역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치열한 전쟁을 벌인데서부터 통일전쟁의 시작을 설정 할 수 있다는 주.. 밀리터리 2017. 6. 27.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통일신라가 멸망한 이유 6가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한국사 최초의 통일 국가인 천년을 유지했던 신라가 무슨 이유 때문에 멸망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잦은 반란 신라는 통일 이후 신문왕 시절에 왕권을 강화하기는 했지만 귀족들의 반란으로 왕권이 금방 약화되었다고 합니다. 통일 신라는 말기에 접어들면서 잦은 반란이 일어났다고 하는데요. 신라 말기에 반란을 일으킨 대표적인 인물이 후삼국시대를 대표하는 후백제의 왕이었던 견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골품제도 신라는 건국 이후 성골과 진골로 나뉘어 신분 제도를 운영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신라 통일의 기반을 만든 태종 무열왕이 바로 진골 출신의 국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신라의 신분 제도인 골품제로 인해 출세에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인재를 육성하지 못한 부분에 있어서 멸망 원인 중 하나.. 밀리터리 2017. 6. 9.
고구려가 멸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5가지 고구려는 전 세계 역사학자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라고 할 정도로 강력한 국가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구려는 나당연합군에 의해 수도 평양성이 함락당하게 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는데요. 고구려가 멸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쇠퇴해진 국력 고구려 말기 당시 고구려는 수나라, 당나라와같은 중국 대륙의 왕조국가들과 대규모 전쟁을 했습니다. 특히 고구려는 지속된 대규모 전쟁으로 인해 국력이 엄청나게 쇠퇴해졌다고 하는데요. 역사전문가들이 고구려 멸망 원인으로 주장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고구려의 지속된 전쟁으로 인한 쇠퇴해진 국력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김춘추의 지원병력 요청 거절 김춘추는 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김춘추가 직접 고구려로 넘어가서 군사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밀리터리 2017. 6. 1.
한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한국의 7대 전쟁 한국의 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전쟁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순서는 전쟁 발발 순으로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수나라 전쟁 (598년 ~ 614년) 일명 고수전쟁이라거 불리는 이 전쟁은 중국 대륙을 통일한 수나라가 고구려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전쟁입니다. 수나라가 고구려를 침공 할 당시 동원 병력은 110만 명으로 어떻게 막아냈는지 굉장히 의문점을 보여주는 전쟁입니다. 고구려-수나라 전쟁으로 인하여 수나라는 급격한 국력 소진으로 인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나당 전쟁 (670년 ~ 676년) 한국 고대사에서 가장 약소국이었던 신라가 당나라와 군사동맹을 체결하면서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습니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당나라가 한반도 전체를 지배하려고 했습니다. 이에 신라가 당나.. 밀리터리 2017. 4. 2.
한민족 역사상 엄청난 영향을 끼친 7번의 대위기들 대한민국 역사에는 여러가지 위기들이 존재하지만 대표적으로 7가지 사건들을 뽑아봤습니다. 한국 역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던 한민족의 대위기들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민족 역사상 엄청난 영향을 끼친 7번의 대위기들 나당전쟁 (670년 ~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전쟁의 마지막 파트로 불리고 있는 나당전쟁은 신라와 고구려 부흥군 연합이 중국 요동일대를 선제공격으로 시작된 신라와 당나라 간의 전쟁입니다. 나당전쟁의 원인으로는 당나라의 한반도 직할영토화 정책과 신라의 삼국통일정책이 정면으로 충돌 한것으로 역사학자들은 판단하고 있는데요. 당시 당나라는 최전성기를 맞이한 동아시아 역사상 최강국이었지만 신라는 막 전쟁을 끝낸 약소국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백제 부흥세력, 고구려 부흥세력이 신라와 손을 잡으면서 나당전쟁은.. 밀리터리 2017.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