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완용9

조선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 4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한국사에서의 마지막 왕조는 조선왕조인데요. 조선은 한국사에서 한국 근대사를 대표하는 왕조국가입니다. 하지만 조선이 멸망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많은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요. 큰 그림으로 4가지 정도 개인적인 의견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조선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 4가지 이유 근대화 시기 조선 말기에는 수구파, 친러, 친일, 개혁파로 나뉘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시대적 배경으로 일제에게 암살당한 명성왕후는 친일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친러세력과 교류를 했다고 하는데요. 조선의 멸망 이유에 대해서 정치적으로 엄청 복잡한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외부세력의 등장 세계 형세가 바뀌면서 조선 말에는 외부세력들이 등장했습니다. 조선은 덴마크와 같은 서양의 국가들과 교류를 했다고 하는데요. .. 밀리터리 2017. 1. 23.
공식적으로 발표된 민족반역자 1기 10인 2006년에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일제강점기 제1기 매국노 (1904년 러,일 전쟁 ~ 1919년 3월 1일 3.1운동)까지 친일파를 대표하는 매국노 10인이 발표 되었다 물론 을사조약을 체결한 을사오적도 포함되어 있으며 조선왕실의 인물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여 봐주시기 바랍니다 일제강점기 제1기 매국노 (1904년 러일전쟁 ~ 1919년 3.1운동) 고영희(1849년 12월 16일 ~ 1916년 1월 24일) 경술국적, 정미칠적에 포함되는 인물로 대표적인 민족반역자들 중에서도 2관왕을 차지한 인물로 젊어서부터 개화 사상을 접해 개화파 정치인이 되었는데 갑오개혁에도 참여한 이력이 있다 1910년 경술국치에 일본에게서 조선귀족 자작을 받았다 권중현(1854년 11월 27일 ~ 1934년 3월 19일.. 밀리터리 2016. 10. 20.
민족반역자! 친일파의 기준과 대상 친일파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의 국가들을 강제로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르키는 말로 일본 제국의 식민지배는 도중 2차세계대전이 종전 된 후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특히 일제가 침략하거나 전쟁을 일으킨 지역의 국가의 국민들은 그들을 매우 부정적으로 본다 ▲대표적인 민족반역자 친일파 이완용▲ "친일파" 라는 단어는 1966년에 임종국이 출간한 에서 처음 나오는데 친일은 "일본과 친하다" 라는 뜻으로 해석하여 친일파라는 명칭은 당시 기득권을 가지고 있었던 사회 지도층 세력인 부일배 대신 사용하게 된 것이며 부일이라는 단어는 "일본에 부역하다" 라는 뜻으로 친일이라는 단어보다는 일제를 적극적으로 도왔다는 의미로 볼 수 있.. 밀리터리 2016. 10. 17.
나라를 팔아버린 친일파! 정미칠적 정미칠적은 대한제국에서 을사조약을 체결한 2년 후인 1907년 7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3차 한일협약조합 또는 정미7조약) 조인에 찬성한 대한제국의 내각 대신 일곱 사람을 가르키는 말로 친일인명사전 명단에 정미칠적 모두가 포함되어 있다 추가로 정미칠적에 설명을 하자면 을사조약에 체결한 내각 대신 을사오적 다음으로 민족을 배반한 민족배반자 7인이라고 볼 수 있다 나라를 팔아버린 친일파 정미칠적 이완용 (내각총리대신) 순종이 즉위한 뒤 정미7조약에 서명하여 대한제국의 정권을 스스로 일본에 넘겼으며 미 조약 체결의 원흉인 정미칠적 명단에는 이완용의 맏며느리 임건구의 친삼촌인 사돈 임선준의 이름 역시 학인되고 있으며 고종이 퇴위하고 순종이 즉위하자 이완용은 망국노, 역적이라는 질타를 받았고 반 이완용 시위, 이.. 밀리터리 2016.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