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군정6

2차대전 이후 미국은 어떻게 일본을 통치할 수 있었을까? 일본은 2차세계대전 이후 일본에 연합군사령부인 GHQ를 설치하고 일본은 약 7년 간 통치했습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어떻게 일본을 통치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일본은 2차세계대전 추축국으로 미국과의 전쟁에 패배하였습니다. 패배한 후 미국 정부는 일본에 연합군사령부(GHQ)를 설치하고 일본을 직접적으로 통치하기 시작했는데요. 실제로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사령관이었던 맥아더는 GHQ(연합군사령부)를 운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맥아더가 미군정(GHQ)를 운영했을 당시 일왕 '히로히토'에게 인간선언을 하게하여 굴욕을 주기도 했다고 합니다. 특히 일본 왕은 일본 국민들에게 신성시 되던 직책으로 현재도 수 많은 일본 국민이 일본 왕을 믿고 신임한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일왕 '히로.. 밀리터리 2018. 4. 12.
한국에도 존재하고 있는 대한민국 준군사조직 4개 대한민국 법률 상 소개해드리는 조직은 군사조직으로 분류하지 않으며 준군사조직으로분류가 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북한에도 준군사조직이 존재하는데 예비군은 실제 근무를 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하였습니다. 전투경찰순경 한국 경찰청에 소속된 사실상의 준군사조직으로 민간인들은 전투경찰순경을 전경 또는 의경이라고 부르며 봉급은 전경의 계급의 따라 지급받습니다. 전투경찰순경은 이승만 정부 당시에 창설되었으며 목적은 기본적으로 당시 38도선 내 북한군과의 전투 및 한국군의 빨치산 전투 등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독도수비대 1956년 4월 8일 독도의용수비대로 독도 경비 업무를 인수받아 경비 업무를 시작한 조직으로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이 아닌 행정자치부 산하 대한민국 경찰청 밑에 있는 육경부.. 밀리터리 2018. 1. 15.
2차세계대전 이후 한반도 남부를 미군정이 3년 간 통치하게 된 이유 1945년 8월 15일 일왕 '히로히토'의 무조건 항복이 울려퍼지면서 한반도는 일제로부터 해방했습니다. 하지만 독립 이후 미국은 소련과의 협상을 통해 남한과 북한을 나눠 3년 간 통치했고 이는 한민족의 비극적인 역사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일제로부터 민족이 해방했지만 3년 간 미군정의 통치를 받은 슬픈 역사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미군정은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한반도를 3년 간 통치하면서 기존 일제에 협력하던 친일파들을 대거 등용했습니다. 또한 친일파들은 미국으로부터 다시 등용되면서 권력을 다시 되찾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아픈 역사가 시작 된 것은 미국 CIA의 전신인 OSS의 기밀문서들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미국 OSS는 미국의 전시첩보기관으로 전 세계의 모든 전선에 투입되어 활동했다고.. 밀리터리 2017. 12. 13.
2차대전 이후 미국이 남한에 '미군정'을 설립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차세계대전에서 패망한 후 미군은 한반도 남한으로 들어와 '미군정'을 설립하여 3년간 남한을 대리통치했습니다. 일제 패망 이후 미국이 남한에 '미군정'을 설립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시다시피 대한민국 건국 직전 '미군정'은 대한민국 정부 건국 준비를 비롯하여 치안을 담당하고 남한을 안정시키고자 했습니다. 또한 미군정이 설립되자 당시 공산주의자들은 남한을 넘보지 못했는데요. 사실 미국은 일제 패망 이후 한반도 남부에 '미군정'을 설립 할 계획은 없었다고 합니다. 또한 미국은 일본 제국 해체를 시킨 후 하루 빨리 한반도를 일제로부터 해방시키고 신생국가 건국을 지원하려고 했다고 하는데요. 이 내용은 2차세계대전 중이던 1945년 2월 있었던 얄타회담 당시 나온 이야기라고 하는데요... 밀리터리 2017. 12. 13.
일제 해방 이후 '미군정'이 친일파를 대거 등용한 이유 일제 해방 이후 한반도 남부에는 미군정이 들어와 대리 통치를 시작했고 미군정은 친일파를 대거 등용하여 그들에게 권력을 다시 주었습니다. 일제 해방 이후 '미군정'이 친일파를 대거 등용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제 해방 이후 '미군정'은 사실 한반도에 대한 실정을 잘 모르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당시 조선은 그냥 일본이 식민지배를 하는 곳이었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고 하는데요. 때문에 중국에서 연계하여 연합작전을 펼쳤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차 '미군정'은 인정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물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군정'의 인정받을 받지 않으니 한반도에 있는 모든 조직은 인정받지 못했을텐데요. '미군정'은 치안 목적으로 일본에 협력했던 '친일파'들을 대거 등용했던 것이었습니다. 미국정의 입장에선.. 밀리터리 2017.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