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97

대한민국에도 미국처럼 일본의 로비가 가능했던 국가인 이유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체재를 채택한 국가로 정당 활동 및 정당의 존재에 대해서는 자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일 국민들이 접하는 뉴스는 정치로 정치는 국민들의 삶 속에 깊숙히 자리잡고 있는 것이기도 한데요. 대한민국에도 미국처럼 일본의 로비가 가능했던 국가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 대 미국은 대한민국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케네디 대통령이 직접 일본을 방문해 당시 일본 총리였던 '모리 요시로' 수상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요시로 수상에게 한국의 경제를 살려하니 최대한 빨리 '한일수교'를 진행하라고 요구하였는데요. 미국의 요구를 받은 일본 정부는 한국과 수교를 진행하여 '한중수교'를 정상화했으며 일본은 미국의 요구에 앞서 한국을 '경제식민지'화 시킬 계획이었다고.. 밀리터리 2018. 5. 9.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이익 볼 수 있는 국가 5개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해 안에 한반도 '종전선언'을 하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합니다. 또한 '남북정상회담' 이후 긍정적인 회담 내용이 나오자 세계 각 국은 '종전선언'에 대해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는데요.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인해 이익 볼 수 있는 국가 5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중국은 북한과 혈맹조약을 맺은 국가로 최근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있어 중국의 역활론을 앞세우며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해 지지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사실 중국은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인해 큰 이익을 볼 수 있진 않지만 '종전선언' 지지로 인해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일부 경제전문가들은 한반도가 '종전선언'으로 인해 전쟁지역이 아닐 경우 북한 전 지역이 재개발에 .. 밀리터리 2018. 5. 5.
중국이 미국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결정적인 이유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인해 중국은 공산주의권 국가들을 대표하는 종주국이 되었으며 21세기들어 미국과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미국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은 한국전쟁 이후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경제침체기를 맞이했습니다. 그런데 중국은 경제침체기를 극복하기 위해 '개혁개방'을 시작했고 '개혁개방'을 토대로 중국은 엄청난 경제발전을 이룩했습니다. '개혁개방'으로 인해 중국 경제가 상승하자 중국은 중국군 현대화 작업에 철수했고 현대에 이르러 세계 3위의 군사강국으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중국이 사용하는 위안화(CNY)는 미국의 달러(Dollor), 유럽연합의 유로(Euro)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폐로 성장하.. 실시간 이슈 2018. 5. 4.
개성공단이 다시 가동되면 이 업체들이 개성공단에 들어갈 수 있다. 개성공단은 형무소에 있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의해 폐쇄되었고 현재까지도 가동이 중단되어 있는 곳입니다. 하지만 '남북화해무드'가 조성되면서 개성공단이 재가동 할 지 모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하는데요. 개성공단이 다시 가동되면 어떤 업체들이 개성공단에 들어갈 수 있는지 추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당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전쟁'을 올해 안에 종전선언을 시행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한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 북이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과 러시아는 대환영의 의사를 밝히기도 했는데요. '개성공단'이 재가동 될 경우 기존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을 포함하여 새로운 외국계 기업들이 입주 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요. 한국기업들을 제외하고 '개성공단'에 입주 할지도 .. 밀리터리 2018. 5. 2.
세계 언론이 주목하고 있는 '북미정상회담'의 예상 개최지 4곳 '남북정상회담' 이후 미국 정부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발표했습니다. 또한 미국 정부는 한반도 '종전선언' 역시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는 발표도 했는데요. 세계 언론이 주목하고 있는 '북미정상회담'의 예상 개최지 4곳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한 당국이 미국과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협의하는 동안 북한 당국은 북한이 철도로 이동한 곳을 후보지로 계속 제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는 2018년 4월 28일 기준 세계 언론들이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거론했다고 하는데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미정상회담'이 개최 될 경우 한반도 문제에 있어 소외된 러시아를 어느정도 달래줄 수 있.. 밀리터리 2018.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