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97

미국이 갑자기 북한에 '북미정상회담' 취소통보를 날린 이유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북한과의 회담이 예정이었던 '북미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과의 대화에 적극 협조해 주어 매우 고맙다는 메세지도 전달했는데요. 미국이 갑자기 북한에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날린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에게 보내는 서한에 '아직은 만나는 것이 급한 것 같다'라는 내용을 포함했습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가 '북미정상회담' 취소 통보를 날린 것에 대해 미국 언론들은 이에 대한 비판 보도를 쏟아냈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국이 북한에 '정상회담' 취소 통보를 날린 것은 북한이 '미국 펜스 부통령'을 맹비난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미국의 '펜스 부통령'.. 밀리터리 2018. 5. 25.
'북미정상회담' 개최지가 싱가포르로 결정 된 이유 '북미정상회담'의 일정이 잡힌 가운데 '북미정상회담'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지가 싱가포르로 결정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북미정상회담'의 일정을 알리면서 협상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또한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북한을 방문해 북한에 억류 된 미국인 3명을 전용기를 통해 귀국시키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었는데요. 미국과 북한이 '정상회담' 개최지를 '싱가포르'로 결정한 것은 싱가포르는 정치적 중립지인과 동시에 'G7 정상회의'의 개최지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싱가포르'는 교통이 우수하고 와이파이를 비롯하여 인프라가 잘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로 결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북한 김정.. 밀리터리 2018. 5. 11.
미국이 직접 개입해서 경제를 살려준 국가 4개 미국은 2차세계대전 이후 민주진영을 대표하는 국가로 경제, 군사력 면에서 넘사벽 수준으로 성장한 국가입니다. 하지만 미국 역시 1960년 대 공산주의 정권이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자 '친미국가 개발정책'을 통해 친미국가들에 대해 원조를 진행했습니다. 미국이 직접 개입해서 경제를 살려준 국가 4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일본은 2차세계대전 패전국으로 미국의 극동방위선의 마지막 보루와 같은 국가입니다. 일본은 2차세계대전 패전국으로 전범재판을 받은 후 경제가 완전히 바닥을 쳤다고 하는데요. 일본은 한국전쟁을 시작으로 냉전시대에 미국으로부터 군수물자 수출권을 제공받아 전 세계에 무기를 팔고 막대한 외화를 벌여들였다고 합니다. 일본은 냉전시대 당시 단 기간에 세계 GDP 5위까지 성장하는 과속성장을 .. 밀리터리 2018. 5. 10.
미국 '프레이저 보고서'가 조작되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 프레이저 보고서는 미국 '도널드 프레이저' 의원이 4,19 쿠데타의 핵심멤버 중 한명이자 '중앙정보부' 부장이었던 '김형욱'의 발언을 토대로 만들어 진 보고서입니다. 또한 '프레이저 보고서'는 박정희에 대한 진실과 한국 경제발전에 대한 실상이 적혀 있어 공개되자마자 논란이 되었던 문서 중 하나였는데요. 미국 '프레이저 보고서'가 조작되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레이저 보고서'는 '박정희'라는 한국 대통령의 명령에 의해 한국 정부가 미국 의회에 로비를 시도했다는 것이 발각되면서 작성 된 문서입니다. 특히 한국 정부가 미국 의회에 로비를 시도하는 것이 발각되자 미국 전역은 발칵 뒤집혔고 미 의회는 한국에 대한 실상을 보고서로 작성하라고 명령하게 되면서 청문회까지 열리게 되었다고.. 밀리터리 2018. 5. 10.
미국이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위해 위해 실시한 정책 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소련의 공산주의 진영과 미국의 민주주의 진영이 대립했고 이를 '냉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한국전쟁 이후 세계에 공산주의권 국가들이 새롭게 건국되는 것을 보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미국이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위해 실시한 정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존 F.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에 당선되자 경제관료들과 측근들을 모아 '공산주의권' 국가들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문제점을 파악해라는 지시를 했다고 합니다. 존 F. 케네디 미국 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미국의 엘리트 경제관료들과 그의 측근들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시작했고 공통점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실제 1960년 대 당시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인물들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활발하게 활동하기 시작했고.. 밀리터리 2018.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