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병대12

미 해군 제7함대만으로 북한을 쓸어버릴 수 있는 이유 미군 태평양 사령부 소속의 미 해군 제7함대는 태평양 일대를 작전지역으로 규정하고 작전을 실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미 해군 제7함대는 태평양 사령부 소속에서도 막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는 함대인데요. 최강의 전력을 가지고 있는 미 해군 제7함대만으로도 북한을 쓸어버릴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 해군 제7함대만으로 북한을 쓸어버릴 수 있는 이유 1. 세계 7위의 공군 전력 미 해군 제7함대는 7함대만으로도 세계 7위의 공군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전 세계에서 해군과 공군의 전력으로 미 해군 제7함대를 상대할 수 있는 해군 전력을 존재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미 해군 제7함대의 공군 전력은 북한 공군은 손 쉽게 제압하고 마음만 먹으면 북한 지역에 대한 폭격을 .. 밀리터리 2017. 5. 10.
미 국방장관 제임스 매티스가 존경받는 이유 6가지 제임스 매티스는 현재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으로 지명되어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미 국방장관 제임스 매티스의 별명이 미친개이지만 미국인들에게 존경받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사 출신의 국방장관 제임스 매티스는 1969년 해병대 상근예비역으로 입대했으며 1972년 ROTC과정을 통해 소위로 임관했다고 합니다. 소위로 임관 이후에는 여러 보직을 거쳐 해병대 대대장으로 걸프전에 참전했으며 이라크 전쟁 당시에는 미 해병대 1사단장으로 참전했다고 합니다. 때문에 제임스 매티스는 사령관에 취임한 후에도 자신의 장군과 소총 그리고 방탄헬멧까지 자신이 들고 다녔다고 합니다. 현대전 경험이 많은 장군출신 제임스 메티스는 미 해병대 병사시절부터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을 거쳐 현대전의 시작이라고.. 밀리터리 2017. 4. 19.
북한이 두려워해야 할 대한민국 국군 전력 7개 2017년 현재 북한과 남한은 전력부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의 비대칭 전력을 제외하고는 남한보다 우세한 부분이 없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대한민국 국군 전력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는 대한민국 수도 서울을 지키는 임무를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수도방위사령부는 직할부대를 포함하여 예하에 2개의 향토사단과 1개의 동원사단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수방사 직할부대를 포함하여 예하 사단들은 대체적으로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시가지 훈련을 주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도방위사령부는 직할에 전차부대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시상황이 발생할 경우 예비역 동원을 통해 북한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부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밀리터리 2017. 4. 18.
북괴를 공포로 몰아 넣을수 있는 국군부대 6개 대한민국은 1950년 민족의 대참사인 한국전쟁을 겪었으며 베트남 전쟁을 겪었습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의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는데요. 북한에게 대한민국의 무서움을 알려줄 수 있는 국군부대 6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육군 제3보병사단 공식명칭은 육군 제3보병사단이며 국군 5군단 소속의 백골부대입니다. 백골부대라고 불리는 육군 제3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창군기에 창설된 8개의 초기사단 중 하나라고 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국군의 최선봉에서 북괴를 섬멸하였으며 1973년 북괴의 도발에 있어서 백린연막탄을 발사하여 북괴에게 공포를 심어준 사단입니다. 이른바 3.7 완전작전 이후에는 국군 3사단에 대응하기 위해 인민군 2개 사단을 배치할 정도로 북한 장교와 사관들이 가.. 밀리터리 2017. 4. 15.
대한민국 안보에 필요한 미국의 군사전력 6가지 대한민국은 현재 황교안 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로 국가 안보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통령 선거에도 안보 문제를 중요 안건으로 삼고 있는데요. 대한민국 안보에 있어서 필요한 미국의 군사전력 6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드 고고도 미사일 사드 고고도 미사일은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서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의해 도입하려고 하는 고고도 미사일 격추 시스템입니다. 사드의 레이더는 북한 전역을 감시 할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한 범위를 자랑하고 있는데요. 중국의 일부 지역까지 레이더 탐지가 가능한 것 때문에 중국에서도 한국에 대한 사드 도입 반대 입장을 내고 있습니다. 북한이 핵 도발을 감행하기 전 북한의 움직임을 사전에 확인 할 수 있다고 하네요. F-22 랩터 전투기 .. 밀리터리 2017.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