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병대12

세계 2위의 규모의 대한민국 해병대를 대표하는 전략무기 5가지 미국 해병대 다음으로 대규모 병력을 자랑하는 귀신도 때려잡는다는 대한민국 해병대를 대표하는 대표 전략무기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천왕봉급 상륙함 LPD 천왕봉급 상륙함 LPD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오래된 상륙함인 운봉급 상륙함과 고준봉급 상륙함을 대체하기 위한 4,500톤급의 LPD상륙함 입니다. 천왕봉급 상륙함 LPD의 상륙 병력은 약 700명이며 다양한 전투차량 탑재와 병력을 상륙시키기 위한 상륙정 3대를 탑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스파이크 미사일 북한의 국지도발인 연평도 도발 이후 대한민국 해병대는 서북 도서에서 해상 사격훈련을 실시했습니다. 대한민국 해병대의 해상 사격훈련 중 스파이크 미사일을 발사 훈련을 했다고 하는데요. 스파이크 미사일은 산 속이나 동굴, 지하갱도 등에 숨겨놓은 북한의 해안.. 밀리터리 2018. 1. 13.
동북아시아에 주둔하고 있는 해병대 6개 역사적으로 해병대는 큰 역활을 했던 전투부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해병대라고 불리는 해군육전대의 규모를 10만 명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는데요. 동북아시아에 주둔하고 있는 대표적인 6개국의 해병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의 마스코트는 해병이이며 품종은 진돗개 라고 합니다. 대한민국 해병대는 한국전쟁 이전인 1949년 4월 15일에 손원일 제독의 건의로 창설된 대한민국 해군의 전략기동부대입니다. 대한민국 해병대 초창기에는 일본군이 남기고 간 장비를 긁어모아 해군에서 차출한 약 380여명 정도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현재는 2개 사단과 2개 여단 그리고 마이너스 연대급의 부대가 있으며 대한민국 국방부 공식 발표에 의하면 대한민국 해병대의 병력은 .. 밀리터리 2017. 6. 25.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자랑스런 대한민국 특수부대 6개 특수부대의 임무는 수색전, 게릴라 활동, 첩보활동, 비밀작전, 파괴공작, 심리전, 대테러전 등을 전문적으로 하는 정예부대입니다. 특히 특수부대는 단순히 훈련의 강도를 기준으로 나누는게 아닌 특수전, 비정규전이라는 임무를 가진 부대를 뜻한다고 합니다. 707 특수임무대대 대한민국 특수부대 중 하나로 KBS2에서 방영한 태양의 후예에서 송중기 씨의 부대가 바로 707특수임무대대입니다. 707특수임무대대의 창설배경은 12.12사태 당시 3공수여단장의 호위의 목적으로 창설되었다고 하는데요. 707특수임무대대는 개인의 얼굴과 신상은 2급 군사기밀 정도로 비밀에 쌓여있는 부대로 대테러진압부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경찰특공대 868부대 경찰특공대는 1986년 아시안게임 유치 확정에 따라 북한의 테러에 대비하기 위해 .. 밀리터리 2017. 6. 4.
중국이 해군육전대 규모를 10만 명으로 늘리는 이유 5가지 중국 해군육전대는 적은 규모가 아님에도 기존 1만 2천명에서 10만 명으로 병력을 늘리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중국이 해군육전대 규모를 10만 명까지 늘리려고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미 해병대의 규모 미 해병대의 규모는 18만 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해병대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해병대 역시 약 3만 명의 병력으로 대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양 국이 운용하는 해병대 병력은 대략 21만 명으로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중국 정부가 중국 해군육전대 병력을 10만 명 늘리겠다고 한 이유는 한미 해병대를 견제하기 위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남중국해 갈등 중국은 필리핀, 베트남 등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해상 영토 분쟁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군육.. 밀리터리 2017. 6. 2.
미 해병대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5대 전투 미 해병대는 2차세계대전을 포함한 한국전쟁에도 참여했던 군대입니다. 미 해병대 역사상 가장 치열하게 싸웠던 전투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과달카날 전투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벌어진 전투로 대체적으로 태평양 전선의 스탈린그라드 전투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달카날 전투에서 미 국방부의 공식발표에 의하면 미 해병대 7,100명이 전사했으며 군함이 29척이 침몰하고 항공기 615대를 손실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 해병대는 과달카날 전투에서 엄청난 전력 손실을 당했지만 과달카날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미국의 총반격을 이끌어낸 전투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펠렐리우 전투 펠렐리우 전투는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필리핀 탈환전을 앞두고 펠렐리우 섬의 비행장을 확보하기 위해 벌어진 전투라고 합니다.. 밀리터리 2017.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