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탈북자13 탈북 여성이 밝힌 북한 남자가 싫은 이유 유튜브를 통해 인터넷 실시간 방송을 하는 탈북자 '손봄향'이 유튜브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통해 북한 남자가 싫은 이유를 밝혔다고 합니다. 탈북 여성이 밝힌 북한 남자가 싫은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는 탈북자 '손봄향'은 주로 북한 관련 컨텐츠를 진행하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손봄향은 인터넷 방송을 하던 도중 '제가 북한 남자를 안좋아한다'며 북한 남자를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이유를 말하기 시작했는데요. 손봄향은 '예전에 탈북자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알게 된 오빠가 한 명 있는데 8년 만에 페이스북 메시지로 연락이 왔다'며 통화까지 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그런데 해당 북한 탈북 남성은 손봄향에게 '결혼했니?'라고 물어봤고 손봄향은 결혼을 했다고 .. 실시간 이슈 2018. 9. 19. 더보기 ›› 집단 탈북을 했던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사건'의 진실 2016년 4월 5월 20대 총선을 앞두고 중국 닝보 소재의 북한 식당인 '류경식당' 종업원 13명이 집단으로 탈북했습니다. 당시 '류경식당' 종업원들은 대부분 북한 중산층이다보니 사회적으로 꽤 큰 이슈가 되었는데요. '류경식당' 집단 탈북에 대해 다시 끔 논란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집단 탈북을 했던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 사건에 대한 진실을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류경식당'의 종업원 13명은 2016년 4월 5일 밤에 식당을 몰래 빠져나와 상하이로 이동 후 말레이시아 행 비행기를 타고 말레이시아로 이동했습니다. 북한은 말레이시아와 무비자 협정을 맺고 있어 북한 여권만 소지하면 출국에 문제가 없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종업원 13명은 말레이시아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한국행 비행기에 탄 후 .. 실시간 이슈 2018. 5. 14. 더보기 ›› 북한의 현실을 보여주는 북한 레전드사건 '정춘실 약탈사건' 대한민국으로 탈북한 탈북자 이정연의 글을 인용한 부분이며 실제로 일어난 사건인지를 확실하지 않은 사건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이 사건은 탈북민 '이정연' 씨의 증언을 기준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故정춘실은 한 때 김일성을 아바이라고 부르고 김정일이라고 부르던 유일한 북한 여자라고 합니다. 또한 故정춘실은 북한에서 노력영웅 칭호를 2번이나 받고 각종 언론매체에서 열심히 띄어주던 사람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영웅칭호를 받은 이 여자는 1992년 직접 강원도의 항구에서 자강도로 생선을 옮기던 도중 북한 인민군에게 3번이나 털렸다고 합니다. 첫번째로 털린 사건은 당시 북한 전연군단 정찰부대원 10명이 야간에 위장 침투 훈련에 참가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폭설로 낙오되어 재시간에 도착하지 못할 위기에 빠.. 밀리터리 2018. 3. 19. 더보기 ›› 북한 탈북자 출신들이 말하는 북한 주민들의 탈북경로 5가지 탈북이란 단어는 북한 주민들이 북한에서 해상, 육상 등을 이용하여 남한이나 다른 제3국으로 도망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국정원의 발표에 의하면 한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의 수는 3만명이라고 알라져 있습니다. 또한 김정은 시대에는 불완전한 체재와 경제 위기로 인하여 북한 고위급 인사들이 탈북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위조 여권을 통한 다이렉트 루트 북한 고위급 출신 탈북자들은 중국에서 체류하면서 돈을 지불하여 위조한 중국 여권을 발급받은 후 중국 공항에서 한국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요. 북한에서 고위급을 지냈던 탈북민들 중에서도 위조 여권을 만들어서 다이렉트로 인천에 입국한 케이스가 많다고 합니다. 홍콩, 마카오 루트 홍콩과 마카오는 북한 탈북자에 대해서 북송을 시키지 않는다고 합니다.. 밀리터리 2018. 2. 27. 더보기 ›› 북한 주민들은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을 탈출하기 시작했을까? 탈북민이 3만 명이 육박하는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탈북한 대표적인 인물은 바로 故황장엽 비서입니다. 탈북자들은 언제부터 탈북하기 시작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탈북민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탈북민들이 본격적으로 탈북하기 시작한 것은 김정일이 통치하던 시절 실행 된 '고난의 행군'이라고 합니다. 또한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면서 사회주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배급 시스템이 중단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북한의 배급시스템이 중단되자 굶어죽는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어린 아이들은 '꽃제비'라는 생활을 하면서 최악의 인권실태를 만들게 되는데요. 이렇게 굶어죽는 사람들이 증가하자 북한 주민들은 '살기'위해 목숨 걸고 탈북을 시작한 것이라고 합니다. 당시 탈북민들은 굶어 죽는거나 잡혀서 죽는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 밀리터리 2018. 1. 1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