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탈북4 중국 정부가 북한 탈북민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 중국은 북한에서 탈출한 북한 주민들을 체포하여 다시 북한으로 보내는 북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탈북자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공산당은 탈북자들을 국제 법에 의해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또한 중국은 북한 보위부의 중국 국경일대의 거주를 한시적으로 용인해주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중국은 국제연합의 세계인권보장회의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지만 탈북민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구타도 서슴없이 한다고 합니다. 또한 탈북자들은 일부 중국 공안들은 체포하는 과정에서 강렬하게 반항하면서 받은 모욕감 때문에 구타하는 경우도 있다고 증언했는데요. 어찌생각해보면 중국이 북한과 동맹관계이기 때문에 탈북민들을 난민으로 받지 않고 체포하면 북송시키는 것이라고 생각.. 밀리터리 2018. 1. 19. 더보기 ›› 북한 탈북민들이 급증하는 이유 6가지 안녕하세요. 현재 대한민국으로 살고 있는 탈북민 출신 대한민국 국민은 3만 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최근 종편방송의 프로그램에서는 북한을 탈출하는 탈북민들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무슨 이유 때문에 탈북민이 급증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북한 탈북민들이 급증하는 이유 6가지 북한의 현실 북한은 김정일 시대 '고난의 행군' 이후 주민들에게 배급을 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생계형 탈북을 시도하는 북한의 주민들이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대체적으로 북한을 탈출하는 주민들은 동남아시아 루트를 통해 대한민국으로 망명한다고 합니다. 자녀 교육문제 북한의 해외주재 고위급 간부들은 자녀들의 미래를 위해 탈북 망명을 한다고 합니다. 북한 고위급 간부들 역시 북한에서 자녀들은 .. 밀리터리 2017. 2. 28. 더보기 ›› DMZ를 통해 인민군이 탈북하는 5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북한의 일반 주민들은 압록강을 건너서 중국을 통해 제 3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하지만 최전방에서 근무하는 북한 인민군들은 간혹 휴전선을 넘어 한국군으로 귀순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 DMZ를 통해 인민군이 탈북하는 5가지 이유 중국으로 넘어가는 거리 북한의 최전방은 강원도와 개성시 입니다. 하지만 최전방 인민군들은 중국으로 탈북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어차피 목숨을 걸고 탈북을 하는 입장이다보니 모 아니면 도의 생각으로 DMZ를 넘는 것을 선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2할이 넘어가는 확률 한반도의 DMZ에는 동물들이 지뢰에 의해 사망한다고 하는데요. 폭우가 내리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뢰들은 쓸려내려간다고 합니다. 운이 정말 좋다면 지뢰.. 밀리터리 2017. 1. 19. 더보기 ›› 탈북자들이 말하는 북한 정치범수용소 수용대상들 김정은이 직접 지정한 정치적 숙청대상이냐, 아니냐에 따라 혹은 시대 분위기에 따라 범위가 조금은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서 장성택의 유가족은 전원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갔지만 일반 남한행 탈북자의 가족들은 적대계층으로 편입 후 지방으로 추방하는 선에서 끝난다고 한다 물론 인권적으로 무언가 개선되었을리는 전혀 없다고 볼 수 있고 그냥 이전처럼 가두자니 대상자가 너무 많아서 그렇다고 한다 정치범수용소 수용대상들 탈북 시도를 하는자 대체적으로 탈북을 하는 루트는 중국으로 넘어가서 제 3국으로 망명 후 한국 정부나 미국 정부에 망명신청으르 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유럽의 제3국에서는 거희 미국으로망명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과거에는 탈북자가 1명이라도 나오면 그 탈북자 가족들이 정치범수용소로 모두 끌려가는.. TOP시리즈 2016. 9. 2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