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도29

인도가 중국과의 국경분쟁에 있어서 절대로 물러서지 않는 이유 중국과 인도는 국경지대인 둥랑 일대에 병력을 배치하여 대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현재 인도군과 중국군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은 1962년 중국-인도 국경분쟁과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고 하는데요. 인도가 중국과의 국경분쟁에 있어서 절대로 물러서지 않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62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벌어진 중국과 인도의 짧은 전쟁을 대체적으로 중인전쟁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또한 중인전쟁은 정치적 갈등으로 빛어진 사건으로 당시 중국 공산당 수뇌부의 중인전쟁 계획안 승인으로 인해 중국군이 인도 국경지대를 침공하면서 발발했다고 합니다. 또한 중인전쟁 발발 이후 인도 정부는 미국 정부에게 폭격을 요청했고 반격을 위해 병력을 모으는 동안 중국은 전쟁의 진행이 중국에게 불리해지자 일방적으.. 밀리터리 2017. 8. 18.
한국인들이 인도-중국 분쟁에서 인도를 응원하는 이유 현재 중국과 인도는 국경을 맞대고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 외신과 국내 언론의 보도로 알려졌습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한국인들은 인도-중국의 국경분쟁에 있어서 인도를 응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한국인들이 인도-중국간의 국경분쟁에 있어서 인도를 응원하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현재 중국을 둘러쌓고 있는 친미국가 및 미국의 동맹국을 통틀어 대중국 포위망이라고 통칭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도는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인 티베트의 독립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러한 부분은 중국에게 있어서 큰 위협이지만 한국의 입장에서 본다면 대중국 포위망이라는 것이 현실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응원할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또한 인도는 세계 4위의 군사력을 보.. 밀리터리 2017. 8. 17.
인도가 중국과의 분쟁에서 중국을 다루는 방법 2017년 현재까지 중국과 인도는 국경 문제로 인해 군대를 국경에 배치하여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또한 중국은 대규모 군사훈련을 하는 등 인도에게 힘 자랑을 하는 행동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인도가 중국과의 분쟁에서 중국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인도와 중국의 국경분쟁이 일어나고 양 국의 군대가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자 인도에서는 메이드 인 차이나 물건에 대한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중국은 인도 내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 불매운동이 불거지자 시장 장악력과 저가 제품이라는 이유로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도에서 반중 분위기가 확대되면서 중국제 저가 전자제품들이 인도에서 곤욕을 치루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인해 중국의 경제성장.. 밀리터리 2017. 8. 17.
한달이 넘도록 군사대치 중인 중국-인도 분쟁 요약 중국군과 인도군이 현재 한달이 넘도록 중국-인도 국경지대에서 군사 대치중인 상황이라고 합니다. 중국과 인도가 국경을 맞대고 군사를 배치하여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요약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국과 인도의 국경지대인 시킴이라는 지역은 1962년에 벌어진 중국-인도 국경분쟁에서 중국이 승리하면서 중국의 영토로 편입된 지역입니다. 그런데 한달 전 중국군이 시킴 지역에 도로 건설을 하자 인도군이 중국군의 도로 건설을 저지하면서 충돌이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결국 중국은 인도군의 행동을 보복하기 위해 불도저를 동원했고 불도저는 결국 인도군 초소를 밀어버렸습니다. 시킴 지역의 인도군 초소를 불도저를 동원하여 밀어버린 중국군에 대항하기 위해 인도 정부는 시킴 지역에 군사 3천 여명을 배치하게 되었는데요. .. 밀리터리 2017. 7. 23.
재미로 만들어 본 중국-인도 분쟁에 의한 세계3차대전 시나리오 많은 분들이 3차세계대전 시나리오에 대해 문의를 많이 하셔서 출장 이후 세계3차대전 시나리오를 재미로 한 번 만들어보았습니다. 물론 모든 내용은 허구이며 실제로 발생하는 일이 아닌 것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인도는 티베트 독립세력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함에 따라 중국 정부가 인도에 망명한 티베트 독립세력을 무력으로 체포 할 것을 인도 정부에 통보없이 감행한다. 이에 인도 정부는 중국 정부가 무력으로 인도를 공격하는 것으로 오해하고 중국 정부의 군대 동원에 맞서 인도 육군을 투입하여 중국군의 인도 국경에 주둔을 전면적으로 대응하면서 중국군을 견제한다. 이에 중국 당국은 인도의 선전포고로 간주하고 동맹관계에 있는 북한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고 북한은 이를 수용하여 인도 국경에 북한 인민군을 대규모로 파견한다. .. 밀리터리 2017. 7.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