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중근9 안중근의 아들이 평생 친일파로 살아야만 했던 이유 1909년 10월 25일 중국 하얼빈 기차역에서 대한의군 참모총장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습니다. 민족의 영웅 안중근의 아들이 평생 친일파로 살아야만 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39년 10월 16일 안중근의 아들 안준생은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인 이토 분키치에게 사죄를 합니다. 조선호텔에서 안준생이 이토 히로부미의 둘째 아들 이토 분키치를 만나 아버지를 대신해 사죄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사죄한 후 안준생은 박분사 방문에 대해 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는 안준생의 사과문을 신문지에 실어 내보내게 되었습니다. 보도 내용은 '망부의 사죄는 보국의 정성으로 이토공 영전에 고개를 숙이다, 운명의 아들 안준생'이라는 제목으로 7면 메인에 사진과 함께 내보냈는데요. 안중근은 사실 아들 2명과 딸 .. 밀리터리 2018. 7. 22. 더보기 ›› 민족의 영웅,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가 가진 의미 3가지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는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역에서 일어난 사건입니다. 또한 '하얼빈 의거'는 '이토 히로부미'는 19세기 일본 정치계 최대 거물이자 한국 침략의 원흉으로 불리고 있는 인물인데요. 민족의 영웅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가 가진 의미 3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독립운동가 대거 배출 '하얼빈 의거' 1년 후 일본은 한반도를 강제적으로 식민지화 시켰고 1910년 '한일병합'이 되었습니다. 또한 '하얼빈 의거' 소식을 접한 한반도의 수 많은 젊은이들은 '안중근 의사' 정신을 본받고자 일본과 맞서기 위해 의병 및 독립운동을 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실제 일제강점기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하얼빈 의거' 이후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젊은이들의 수가 급증했던 것으로 .. 밀리터리 2017. 12. 2. 더보기 ›› 1945년 8월 15일 광복절하면 떠오르는 인물 5명 8월 15일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규정 한 공휴일로 1945년 8월 15일 해방의 날을 기리는 날입니다. 일제로부터 해방한 광복절 하면 바로 떠오르는 인물 5명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백범 김구 백범 김구 선생은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창립에 참여했으며 1944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에 선임 된 인물입니다.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 독립을 위해 신민회, 한인애국단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후 남한으로 귀국해서 지도자로써 활동했던 인물입니다. 백범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 한민족의 지도자로 평가받는 인물로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고 합니다. 도산 안창호 안창호 선생은 독립운동가로 한인 1세대들의 정신적 지주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또한 도산 안창호 .. 밀리터리 2017. 8. 14. 더보기 ››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이유 안중근 의사는 동아시아의 역사를 바꾼 전설의 독립운동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민족 역사상 가장 슬픔이 많은 시절이 바로 일제강점기 시절인데요. 안중근 의사가 조선총독부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 역에서 처단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독립무장단체인 대한의군의 참모총장으로 김구 선생도 인정한 최고의 총잡이였다고 합니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에서 얼굴조차 모르는 이토 히로부미 저격에 성공하면서 체포당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안중근 의사는 중국의 뤼순감옥에 수감되어 생을 마감했다고 합니다. 안중근 의사가 밝힌 조선총독부 총독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명성황후 민씨를 시해한 죄 2. 대한제국 고종황제를 강제로 폐위한 죄 3. 5조약 .. 밀리터리 2017. 3. 1. 더보기 ››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민족지도자 7인 안녕하세요. 1919년 3월 1일에는 일제로부터 나를 되찾기 위해 전국적으로 태극기 물결이 일어난 역사적인 날입니다. 일제로부터 나라를 되찾기 위해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민족지도자들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민족지도자 7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백범 김구 백범 김구 선생은 대한민국 상해 임시정부 주석으로 한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독립운동가 1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 아버지로 존경받았던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김구 선생의 장례식이 국민장으로 치뤄지자 엄청난 인파가 김구 선생을 애도하기 위해 찾았다고 합니다. 의열단 단장, 약산 김원봉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약산 김원봉 선생은 의열단장으로 유명한 인물인데요. 김원봉 .. 밀리터리 2017. 3. 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