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련29 구 소련 기밀문서로 공개 된 김일성의 한국전쟁 계획안 3가지 일제 해방 이후 한반도 이북을 통치하게 된 소련은 민주진영의 통치 영역인 남한 지역을 미수복 영토라고 판단하였고 북한을 먼저 공산화 시켰습니다. 소련은 북한을 공산화 시킨 후 남한을 점령해 공산화 시킨다라는 민주기지론을 주장하였다고 하는데요. 당시 남한의 이승만 정권은 무력으로 통일해야한다는 북진통일론을 주장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당시 남한에는 전차 0대, 전투기 0대, 연습기만 10대가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소련제 T-34 탱크 242대와 전투기 170여기를 보유한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전력 차이는 김일성의 입장에서 한반도 적화통일의 구미가 당기는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반도를 적화통일 시킬경우 남한이 소련에 편입 될 경우 김일성은 소비에트 연방의 '까레야 공화.. 밀리터리 2017. 6. 15. 더보기 ›› 2차세계대전 이후 중국이 당사국으로 참전한 전쟁 6개 중국은 세계 군사력 3위의 군사강국이자 경제대국이며 소련이라는 강대국과 맞짱을 뜰 수 있는 굉장한 배짱을 가진 나라입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선포 이후 중화인민해방군이 개입했던 전쟁 또는 분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전쟁 (북한측으로 참전개입) 1946년 당시 2차세계대전이 끝난 직 후 세계는 사회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중국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을 선포했습니다.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에서 연합군이 참전하자 중국은 북한 김일성의 요청에 의해 중공 제4야전군을 중화인민지원군으로 개명하여 북한측에 참전하였습니다. 베트남전쟁 (북베트남측으로 참전개입) 베트남 전쟁은 공식적으로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며 중국군이 개입한 것은 3차 인도.. 밀리터리 2017. 6. 1. 더보기 ›› 인류 역사상 물량으로 밀어부치는 인해전술이 가능했던 국가 6개국 인류의 역사에서 100만 대군을 동원할 수 있었던 국가들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물량으로 밀어부치는 전술에 대해 세계인들은 인해전술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하는데요. 인류 역사상 물량으로 밀어부치는 인해전술이 가능했던 국가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국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나치 독일이 항복을 선언했지만 태평양 전선에서 포츠담 선언을 이행하지 않는 일제에 대해 100만 명이 투입되는 몰락작전을 계획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의 몰락작전에 100만 명이 넘는 병력을 투입하려고 했다는 기밀문서가 공개되었다고 합니다. 소련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소련과의 불가침 조약을 파기하면서 소련을 침공했습니다. 이에 소련은 나치 독일을 막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동.. 밀리터리 2017. 5. 31. 더보기 ››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이 위대한 이유 대한민국은 현재 북한의 안보위협에 있어 강력한 한미동맹을 구축중입니다. 북한이 대한민국을 쉽게 건들지 못하는 대한민국의 동맹국 미국이 위대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승전국 미국은 2차세계대전의 승전국으로 전 세계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은 인류 최초로 실전에 원폭을 투하한 국가이며 역사는 짧지만 풍부한 전쟁이력이 있는 국가라고 볼 수 있는데요. 2차세계대전을 종식시킨 미국은 현재까지도 대단하다고 말 할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체재대립 승리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세계는 소련을 필두로 하는 사회주의 체제와 미국을 필두로 하는 민주주의 체제인 냉전시대가 막을 열었습니다. 특히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은 세계대전급 전쟁이자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전쟁 중 하나로 평가받.. 밀리터리 2017. 5. 9. 더보기 ››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남한을 끝까지 지킨 이유 6가지 안녕하세요.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미국은 북한의 불법남침에 대해 한국측으로 지원병력을 파병하였는데요. 당시 미국은 한국을 지켜야만 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남한을 끝까지 지킨 이유 6가지 한반도의 공산화 우려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북한에는 소련군정이 남한에는 미군정이 3년 간 통치를 하였습니다. 한국전쟁은 냉전을 대표하는 세계대전급 전쟁인데요. 사회주의를 극도로 비판하는 미국의 입장에서 한반도의 공산화는 무조건 막아야하는 미국의 숙제였습니다. 소련의 영향력 견제 한국전쟁 직후 중국은 중국 공산당에 의해 공산당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에 소련의 영향력은 중국에도 크게 작용하였는데요. 한반도가 공산화되면 소련의 영향력을 아시아에서 견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미국은 남한을 .. 밀리터리 2017. 4. 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