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248

북한 김정일이 밝힌 13살 여중생 '요코타 메구미'를 납치한 이유 '요코타 메구미'는 일본인으로 1977년 11월 15일 일본 니가타에서 북한 공작원에게 납치 되어 북한으로 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요코타 메구미'는 학교를 마친 후 집에 귀가하던 도중 북한 공작원에게 납치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북한 김정일이 직접 밝힌 13살의 여중생 '요코타 메구미'를 납치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77년 11월 15일 일본 나가카에 사는 한 여중생이 납치되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요코타 메구미'로 당시 일본 경찰은 실종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단순실종'으로 분류하고 20년 간 방치해두었다고 하는데요. 그러다 1997년 1월 북한 공작원이라고 주장하는 '안명진'이라는 인물에 의해 '요코타 메구미'는 북한에 의해 납치되어 납북되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안명.. 밀리터리 2018. 5. 12.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아나운서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아나운서는 바로 북한 '조선중앙티비'의 메인 앵커이자 누구나 한 번쯤은 목소리를 들어봤던 '리춘희' 아나운서입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아나운서인 '리춘희' 아나운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춘희 아나운서는 조선중앙티비의 '20시 보도'를 담당했으며 배우 생활을 하다가 일찌감치 배우를 때려치고 1971년 2월 아나운서가 되었다고 합니다. 1971년 5월부터 '리춘희 아나운서'는 방송원으로 활동했으며 2018년 기준 방송 경력이 47년이라고 하는데요. '리춘희 아나운서'는 북한의 주요사건 때마다 등장해 북한 노동당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북한 내부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실제 '리춘희 아나운서'는 북한의 핵 실험을 비롯하여 전 세계를 도발하는 성명서를 .. 밀리터리 2018. 5. 12.
'북미정상회담' 개최지가 싱가포르로 결정 된 이유 '북미정상회담'의 일정이 잡힌 가운데 '북미정상회담'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지가 싱가포르로 결정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북미정상회담'의 일정을 알리면서 협상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또한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북한을 방문해 북한에 억류 된 미국인 3명을 전용기를 통해 귀국시키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었는데요. 미국과 북한이 '정상회담' 개최지를 '싱가포르'로 결정한 것은 싱가포르는 정치적 중립지인과 동시에 'G7 정상회의'의 개최지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싱가포르'는 교통이 우수하고 와이파이를 비롯하여 인프라가 잘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로 결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북한 김정.. 밀리터리 2018. 5. 11.
한반도 종전 이후 북한 개방 시 30년 안에 베트남 경제력을 따라잡을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 대한민국측과 북한측은 올해 안에 '한국전쟁 종전'이라는 약속을 하고 끝을 내렸습니다. '한국전쟁 종전'이라는 내용이 남북정상회담 이후 보도되자 남한과 북한이 교류를 하게 될 경우 엄청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경제전문가들은 평가하기 시작했는데요. 북한은 미래 자원이라고 불리는 '희토류' 매장량이 세계 2위이며 석유까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는데요. 이 뿐만 아니라 각 종 지하자원이 북한에 묻혀있고 북한에 매장되어 있는 자원만 대략 수 백조원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세계 경제전문가들은 북한에 매장되어 있는 '희토류'만 수출한다고 하더라도 북한은 북한 주민들을 먹여살릴 수 있으며 북한 전역을 재개발해도 돈이 남는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자원 채취에 .. 밀리터리 2018. 5. 5.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이익 볼 수 있는 국가 5개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해 안에 한반도 '종전선언'을 하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합니다. 또한 '남북정상회담' 이후 긍정적인 회담 내용이 나오자 세계 각 국은 '종전선언'에 대해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는데요.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인해 이익 볼 수 있는 국가 5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중국은 북한과 혈맹조약을 맺은 국가로 최근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있어 중국의 역활론을 앞세우며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해 지지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사실 중국은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인해 큰 이익을 볼 수 있진 않지만 '종전선언' 지지로 인해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일부 경제전문가들은 한반도가 '종전선언'으로 인해 전쟁지역이 아닐 경우 북한 전 지역이 재개발에 .. 밀리터리 2018. 5.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