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독립군4 대한민국 독립투쟁사에 한 획을 그었던 독립군 사관학교 신흥무관학교는 무장독립군 양성기관으로 1911년 서간도(길림성 류하현)에서 개교하였다고 합니다. 신흥무관학교는 현재 경희대학교의 전신이라고 하는데요. 신흥무관학교의 졸업생들은 서로군정서 의용대, 조선혁명군, 대학독립군,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등에 참여하면서 활동했다고 합니다. 신흥무관학교는 무장 독립운동의 한 축을 차지하며 민족 해방에 크게 기여한 사관학교라고 볼 수 있으며 한국 독립투쟁사에 있어서 한 획을 그을정도로 크게 기여했습니다. 신흥무관학교 설립배경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항일 의병전쟁과 같은 무장저항이 있었고 을사조약 체결 전, 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에 의병활동이 활발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제는 조선인을 학살하고 마을을 불태우는 등 잔혹하게 진압작전을 실행했습니다. 결국 1910년 .. 밀리터리 2017. 7. 11. 더보기 ›› 우리가 백범 김구 선생을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 4가지 백범 김구 선생은 독립군의 아버지이자 민족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패망 이후 남한으로 귀국한 김구 선생은 타살로 생을 마감하셨는데요. 김구 선생 사망 이후 장례식은 국민장으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3.1 운동의 전통 계승자 백범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인 1919년 3.1 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써 대한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는데요. 현재 대한민국의 헌법에는 대한민국은 상해 임시정부를 계승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은 상해 임시정부에서 지도자로 활동했습니다. 상해 임시정부는 대체적으로 무장 독립단체들과 많은 협력을 하였는데요. 특히 독립군은 미군과의 연합작전인 '독수리 작전'을 실행해 일제로부터 해방하려고 .. 밀리터리 2017. 2. 1. 더보기 ›› 일제 해방 이전까지의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 한국의 고대역사에서는 동북아시아를 평정하며 만주지역을 지배했던 고구려와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을 지배했던 백제의 경우에도 대륙백제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구체적인 군사조직의 기록이 나타났으며 일본제국으로 부터 독립하기 이전까지의 대한민국의 국군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제 해방이전까지의 한국 국군의 역사 고대 (고조선 ~ 삼국시대) 고조선시대의 군사조직에 대해 자세히 남아있지는 않으며 대체적으로 역사학자들은 유물을 통하여 대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비파형 동검과 세형 동검과 같은 청동검과 돌 또는 짐승뼈로 만든 화살촉을 사용했다는 정도이며 위만조선이 세워지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철기문명을 받아들이면서 철제무기로 무장을 하기 시작하였다삼국시대에는 군사문화에 대해 기록이 등장하는데 고대.. 밀리터리 2016. 10. 1. 더보기 ›› 일제를 쳐부수자! 위대한 대한독립군 지도자 4인 일본제국의 강제 침탈로 인하여 조선이라는 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독립운동가들과 대한제국의 많은 백성들의 독립에 대한 정신적 지주였던 대한독립군 위대한 지도자 4인데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범 김구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일제강점기 시절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이며 1919년에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임시정부를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1940년에는 상해 대한제국 임시정부 주석에 선출 되었다 기본적으로 백범 김구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졌던 인물로 평가하고 있으며 임시정부의 마지막과 처음을 이끌었던 지도자로 평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상해임시정부에서 근무하면서 대한독립군을 포함한 대한제국의 국민들에게 정신적지주였으며 1949.. 밀리터리 2016. 9. 3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