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영옥7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수도 있는 한국전쟁 전쟁영웅 6명 한국전쟁은 한민족 역사 상 가장 치욕적인 흑역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전쟁은 단일 국을 지원한 나라가 인류 역사 상 가장 많을 정도로 냉전대립을 대표하는 전쟁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뽑아본 한국전쟁 6대 전쟁영웅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더글라스 맥아더 더글라스 맥아더는 한국전쟁 당시 국제연합 사령관으로 인천상륙작전을 실질적으로 계획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국군과 연합군의 북진을 성사시킨 인물로도 평가받고 있는데요. 더글라스 맥아더는 전쟁 도중 핵 투하 요구에 의해 파면당했지만 더글라스 맥아더는 멸망의 위기에 있던 남한을 구한 명장입니다. 월튼 워커 월튼 워커는 한국전쟁 초기 낙동강 방어선을 국군과 함께 구축하면서 북한.. 밀리터리 2018. 1. 28. 더보기 ›› '김영옥 대령'이 미국에서 미국의 전쟁영웅으로 평가받는 이유 김영옥 대령은 한인교포 2세로 1941년 2차대전에 미국이 참전을 공식화하자 징집대상에 포함되어 미 육군 병사로 입대했다고 합니다. 김영옥 대령은 미 육군 병사로 입대한 후 육군 사관학교후보생으로 선발되었고 그는 미 육군 442연대 100대대에 배치되면서 소위로 임관하게 되었습니다. 김영옥 대령이 이끄는 일본계 2세 부대였던 100대대는 2차대전 당시 로마점령 작전에 큰 공을 세우게 되는데요. 당시 김영옥 중위가 이끄는 100대대는 로마 전선의 피사 전투에서 단 한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키지 않고 피사를 점령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당시 사령관이었던 마크 클라크 장군은 김영옥 대령의 계급이 중위라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서 바로 진급시켰다고 합니다. 즉, 김영옥 대령은 2차대전 당시의 미 육군 장군도 인정한 미.. 밀리터리 2018. 1. 26. 더보기 ›› 일본계 미국인들의 일제의 범죄행위인 '위안부 결의' 로비를 막은 인물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저지른 범죄에서도 가장 악질이라고 평가받는 위안부 문제에 활약한 인물이 있다고 합니다. 그는 바로 미국인들이 뽑은 미국의 전쟁영웅 중 한명으로 뽑힌 한국계 미국인 '김영옥 대령' 입니다. 고인이 되신 김영옥 대령이 살아계실 때 미국 캘리포니아 의회에서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결의를 하려고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본계 미국인들은 미 캘리포니아 의회에서 위안부 결의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반대로비를 했다고 합니다. 반대 로비에 참여한 일본계 미국인들은 대부분 2차세계대전 참전용사들였기 때문에 반대로비에 대한 영향력이 어느정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2차세계대전 당시 미 육군으로 참전했던 참전용사 일본계 미국인들의 반대 로비 소식을 듣자 김영옥 대령은 그들을 만났다고 합니다. 그들을 .. 밀리터리 2018. 1. 21. 더보기 ›› 해외 군대에서 가장 출세한 한국계 장군 4명 외국군대에 외국인으로 입대하여 외국군대에서 가장 출세한 한국계 인물들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외국군대에서 출세한 한국계 장성 4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홍사익 중장 홍사익 중장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의 군인으로 조선인의 신분으로 일본군 중장까지 올라간 인물입니다. 참으로 신기한게 홍사익이라는 인물은 왕족도 아니었을 뿐더러 그냥 자작농의 집안 출신으로 출세한 인물이라는 것인데요. 홍사익 중장은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패망할 지 알고 있었지만 끝내 도망가지 않았고 2차세계대전 이후 전범재판소에서 전범으로 처형당했다고 합니다. 사실 홍사익 중장은 소개할까 말까했지만 자작농(농민) 출신의 장성이었기 때문에 친일파임에도 불구하고 소개해드렸습니다. 김홍일 중장 5성 장군으로도.. 밀리터리 2018. 1. 7. 더보기 ›› 한국계 미국인 전쟁영웅 '김영옥 대령'이 전설로 남은 이유 김영옥 대령은 미국인이 뽑은 전쟁영웅 중 한명으로 꼽히면서 미국 사회에서 재조명받은 적이 있는 인물입니다. 또한 김영옥 대령은 대한민국 국군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을 정도였다고 평가받고 있는데요. 미국인이 뽑은 전쟁영웅 한국계 미국인 '김영옥 대령'이 전설로 남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영옥 대령은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계 미국인들로 구성되어 있는 부대의 소대장으로 유럽전선에 투입되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2차세계대전 로마 전선에서 단 한명의 부상자 없이 김영옥 대령이 이끄는 소대는 무사히 로마에 입성했고 로마를 점령하는 동안 김영옥 대령이 이끄는 일본계 소대는 로마 입성에 있어 큰 공을 세웠다고 합니다. 그리고 2차세계대전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김영옥 대령은 한국전쟁에 참전했고 현재의 .. 밀리터리 2017. 12. 1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