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려25 한민족의 역사를 바꿔버린 사건 8가지 공식적으로 발표 된 내용은 아니며 한민족의 역사를 바꾼 사건 7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 멸망 한국사에서 기록되고 있는 한국 고대사의 국가는 고구려,백제,신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신라의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멸망과 고구려가 멸망하는 계기가 되는데 고구려 대막리지의 아들 연남생이 당나라에 투항만 하지 않았다면 고구려는 멸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발해 멸망 발해는 고구려가 멸망한지 30년 후에 건국한 국가입니다. 고구려인과 말갈인들이 세운 국가이며 현재 중국 지린성에 위치해있었다고 하며 점령하고 있던 영토는 러시아 연해주 지역 및 만주지역 그리고 한반도 북부지역을 소속 영토로 삼고 있었던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입니다. 발해는 초기에 진이라고 칭하다가 발해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밀리터리 2017. 7. 10. 더보기 ›› 한반도 왕조국가들을 대표하는 특수부대 4개 한국 역사 속에서 삼국시대라고 하면 고구려,백제,신라 시대를 고대시대라고 한다고 합니다. 중국의 당나라는 살수라는 특수조직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한반도에 있었던 삼국 역시 특수부대가 있었다고 하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 (조의선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고구려의 조의선인은 조의와 선인의 합친말로 신라의 화랑과 유사한 세력이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후한서와 양서에도 조의선인 또는 선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특히 근대에 접어들면서 고구려의 조의선인에 존재에 대한 주장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주장 덕분에 SBS에 제작한 대하사극 연개소문에도 조의선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영되기 이르렀다고 합니다. 신라(화랑) 신라의 화랑은 삼국사기를 포함한 각 종 역사서에도 .. TOP시리즈 2017. 6. 20. 더보기 ›› 우리가 잘 모르는 고려의 명장 최영 장군의 이야기 5가지 고려의 영웅으로 추앙받았던 최영 장군이 사망 이후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조선 건국기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인상을 심어주었던 최영 장군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백전노장 최영 위화도 회군 당시 최영 장군은 개경에 남아있는 병력을 모아 위화도에서 회군한 고려군을 상대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고 합니다. 특히 70세의 백전노장임에도 불구하고 좌군통사 조민수의 대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하는데요. 수적으로 몰리자 최영 장군은 이성계에게 붙잡혔다고 합니다. 최영 장군의 유언 최영 장군은 이성계로부터 고봉현이라는 곳에 유배를 가게 되었고 얼마 되지 않아 개경으로 후송되어 개경에서 최후를 맞게 되었다고 합니다. 최영 장군은 죽기전에 유언을 남겼다고 하는데요 최영 장군은.. 밀리터리 2017. 6. 15. 더보기 ›› 역사학자들이 말하는 가장 유력한 발해 멸망설 4가지 현대에 내려져 오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인 발해의 멸망 원인에 대한 4가지 추측설이 있다고 합니다. 역사학자들은발해가 어떻게 멸망하게 되었는지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역사학자들은 발해가 멸망한 이유에 대해4가지로 추측한다고 합니다. 백두산 분화설 백두산 분화설은 일본의 화산학자들이 제기한 학설로 이 주장은 반론이 너무 심해 기각되었다고 합니다. 역사학자들은 발해의 5경이 모두 백두산에 인접해 있어 백두산 폭팔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보고 있는 것인데요. 거란은 발해를 멸망시키고 난 뒤 발해의 땅을 통치하지 않고 폐현시킨 것도 파괴의 정도가 너무 심각해서 라는 일부의 주장이 있다고 합니다. 지배층의 내분설 발해 내부의 귀족들과 왕족들 간의 내분이 있어 발해가 멸망했다는 설이라고 .. 밀리터리 2017. 6. 9. 더보기 ››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태조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 이후 우왕을 폐위하고 창왕을 옹립하여 권력을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창왕을 폐위하고 자신이 조선을 건국하면서 역성혁명을 실행는데요. 조선 건국 당시 명분이 없었던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인들의 지지 위화도 회군 당시 대부분의 유능한 무인들은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고 합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와 좌도통사 조민수와 권력 갈등이 있기는 했지만 결국 좌도통사 조민수는 이성계에게 숙청당하게 되는데요. 결과적으로 위화도 회군 이후 위화도 회군 자체가 반역과 같은 결정이었기 때문에 당시 무인세력들은 이성계를 지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성계와 사대부의 연대 여말선초 당시 최영과 이성계가 권문세족들을 숙청함에 따라 신진사대부 세력.. 밀리터리 2017. 6. 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