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구려35 '고구려판 우주방어'라고 불리는 '안시성 전투'가 일어나게 된 이유 안시성 전투는 제1차 고당전쟁의 마지막을 장식한 전투이자 '우주방어'의 본좌격인 전투입니다. 중국 당나라 역사 상 가장 위대한 황제였던 '당태종 이세민'이 유일하게 패배한 '안시성 전투'이 발생한 배경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643년 9월 당나라는 고구려에게 상리현장이라는 관리를 사신으로 보냈다고 합니다. 당나라가 당시 고구려에게 사신을 보낸 것은 '연개소문'이 신라를 공격해서 신라의 2개 성을 함락했다고 하는데요. 당나라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신라 공격을 중지하라는 요구를 하려고 사신을 보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구려는 당나라의 신라 공격 중지 요구를 받아드리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이 소식을 접한 '당태종 이세민'은 고구려를 정벌해야 대국의 위엄이 제대로 선다며 고구려 침공을 계획하고 있었다고 하.. 밀리터리 2017. 12. 14. 더보기 ›› 연개소문이 당나라 대군을 물리칠 수 있었던 계책 4가지 제1차 고당전쟁 당시 대막리지 연개소문은 지략을 통해 중국 역사 상 가장 성군으로 평가받는 이세민의 당나라 대군을 물리쳤습니다. 중국에서는 악인으로도 묘사되는 연개소문이 당 태종 이세민이 친정(친히정벌)한 당나라 대군을 물리칠 수 있었던 계략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설연타의 당나라 후방 공격 제1차 고당전쟁 당시 고구려는 북방 초원의 강자로 군림한 설연타를 설득하여 당나라 후방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제1차 고당전쟁 당시 연개소문은 고구려를 직접적으로 통치하는 대막리지의 자리에 있었으며 설연타에 고구려 사신이 파견된 것은 연개소문의 지시에 의해 파견 된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측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제1차 고당전쟁 당시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북방 초원의 설연타의 당나라 공격은 절대로 .. 밀리터리 2017. 12. 11. 더보기 ›› 고구려 멸망 이후 발해가 건국될 수 있었던 이유 고구려는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한민족 역사 상 가장 거대한 영토를 보유했던 국가입니다. 하지만 고구려는 당나라와 신라의 군사동맹에 의한 합동공격으로 멸망하게 되었는데요. 고구려 멸망 이후 발해가 건국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고구려 멸망 이후 당나라는 현재 중국 요동성 일대에 안동도호부라는 곳을 설치하여 말갈, 고구려 유민을 통치했습니다. 또한 안동도호부는 고구려 유민들의 고구려 부흥운동을 억제하고 견제하는 일을 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당시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들을 이끌고 고구려 부흥운동을 했던 인물로 고구려 장군출신이었습니다. 또한 그의 아버지인 걸걸중상은 안시성주와 함께 제1차 고당전쟁 당시 안시성을 막은 전쟁영웅이었기 때문에 고구려 유민들의 지도자로써 추대받.. 밀리터리 2017. 11. 8. 더보기 ›› 역사학계에서 보는 고대 한반도 통일전쟁 시작설 4가지 삼국통일전쟁은 고대 한반도 3개 국의 성장에 따라 3개 국사이에 벌어진 장기간의 전쟁을 말한다고 합니다. 삼국통일전쟁은 3개 국의 대립과 동시에 동아시아의 많은 나라와 종족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국제전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역사학계에서는 고대 한반도 삼국통일전쟁 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삼국통일전쟁 시기를 서술하려면 자연적인 시간의 흐름에서 어느시기를 정해 전쟁기로 특정화 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발표 되었다고 합니다. 4세기 후반설 4세기 전반에 낙랑군과 대방군이 멸망한 후 국경을 접하게 된 고구려와 백제가 옛 중국 군현지역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치열한 전쟁을 벌인데서부터 통일전쟁의 시작을 설정 할 수 있다는 주.. 밀리터리 2017. 6. 27. 더보기 ›› 역사 속 창업 군주들을 빛나게 했던 위대한 참모 7인 동아시아의 왕조국가들의 건국시기에는 참모들의 역활이 상당히 중요했습니다. 동아시아 역사를 뒤 바꿔버린 책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량 한나라를 건국한 한고조 유방의 책사로써 현대에 이르러 책략을 잘 펼치는 인물에게 장자방(장량)에 빗대어 표현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중국 역사에서 전한, 후한으로 나뉠 정도로 긴 시간 동안 중국 대륙을 통치한 한나라의 개국공신으로 중국 대륙을 놓고 항우와의 일전에서 비범한 계략으로 한나라 건국에 일조한 책략가의 대명사입니다. 사마의 중국 위나라 조조의 참모로써 제갈량의 라이벌로 널리 알려진 인물입니다. 사마의는 중국의 소설 삼국지 연의로 유명해진 인물인데요. 정사 삼국지에서 사마의의 아들이 위나라를 붕괴시키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즉, 정.. 밀리터리 2017. 6. 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