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N4

전 세계 사람들은 한국전쟁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한국전쟁은 당사국인 남한, 북한에 추가하여 전투 병력을 파병한 참전국의 숫자로만 보면 국제연합 소속 16개국과 북한에 파병을 한 중국을 포함하면 총 17개국이 된다고 합니다. 6.25 한국전쟁은 인류 역사 상 가장 많은 국가가 한국을 돕고자 지원한 것으로 기록된 전쟁이며 기네스북에 오른 전쟁이기도 합니다. 냉전시대에서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으로 보는 시각 북한은 개전 당시에 명분도 선전포고도 없이 기습적으로 무력 침공을 했습니다. 실제로 2차대전 종전 이후 초강대국으로 성장한 미국, 러시아가 남한과 북한을 군정으로 3년간 통치하였습니다. 이러한 체재대립 때문에 남한은 미국, 이북은 소련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한국전쟁은 냉전 초기 당시 미국과 소련이 직접적으로 충돌한 것이 아.. 밀리터리 2017. 8. 3.
대한민국 안보를 지탱하는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창설 된 이유 주한 UN군이란 대한민국에 주둔 중인 국제연합군(UN군)을 뜻하는 말로 국제연합(UN) 소속의 비상설 군사조직 중 하나인 유엔 평화 유지군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한미연합군사령관이 주한미군사령관과 UN군 사령관을 겸하고 있으며 다만 이 조직의 법률적 근거 및 실효성 여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여러가지 의견이 존재한다고 한다. 주한UN군 창설 목적 국제연합은 북한군이 1950년 6월 25일 기습적으로 남침을 감행하자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했습니다. 결국 1950년 6월 27일에 소련의 불참속에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 제83호(유엔의 대북한 군사제재 결의)를 의결했는데요. 1950년 7월 7일에 유엔 안보리가 결의 제84호(유엔군 통합사령부 설치 결의)를 통과시키면서 이에 유엔군 사령.. 밀리터리 2017. 6. 3.
국공내전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 중국은 제2차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 동아시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이후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동아시아의 체제성립 중국은 제2차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 동아시아에서 완전한 체제구도를 성립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 냉전시대라는 시대적 경쟁구도를 본다면 제2차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한 것은 현재까지도 동아시아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반도 분단 중국 국공내전 이후 중공군은 북한 측에 병력을 파병하여 미군과 국제연합군을 상대로 현재의 휴전선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참전으로 인해 한반도 분단이 생긴 것을 감안한다면 중국 국공내전은 한반도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 밀리터리 2017. 4. 26.
북한이 만들어주는 미국의 선제타격 명분 6가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의 핵무기 압박에 대해 강도를 점 점 올리고 있습니다. 미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 역시 미국의 대북압박에 동참한다는 공식 발표를 하였는데요.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감행한다 하더라도 국제사회로부터 명분을 인정받을 수 있는 6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 거주 30만 미국인의 안전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은 주한미군 가족들을 포함하여 약 3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부의 군사전문가들은 1994년 제1차 북핵위기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북한 선제타격에 대한 입장을 바꾸면서 선제타격을 감행하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현재 미국의 강경한 대북압박에 있어서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들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한 명분으로 앞세울수도 있다고 합니다. 즉, .. 밀리터리 2017.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