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1운동3 일제의 만행을 전 세계 알린 파란눈의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만세시위운동이 일어난 당시 제암리 인근의 개신교와 천도교 그리고 유학의 지도자들이 계획하여 3월 30일 제암리 인근 주민 천여 명과 제암리 발안 장터에서 만세 시위운동을 일으켰다고 합니다. 제암리에서 만세시위운동이 전개되자 일본 헌병대는 시위 진압 목적으로 출동하였고 일본 헌병대는 제암리 마을을 습격하고 불태우고 주민들을 검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본 헌병대의 강제진압사태가 발생하자 인근 화수리와 수촌리 등의 천도교, 기독교 지도자들은 1919년 4월 3일 2차로 만세시위를 진행하고 이 과정에서 일본인 순사 한 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일본 순사 한 명이 사망하자 1919년 4월 5일 일본 헌병대는 수촌리에 급습하여 만세시위 주동자들을 색출한다면서 마을 가옥 42.. 밀리터리 2017. 6. 21. 더보기 ›› 3.1운동이 일어난 이유와 과정들 1910년 일본에 의해 조선이 강제합병 당한 이후 조선은 일본의 무단통치가 조선 내부에서 신음하고 있었고 심지어 교사들까지 군복을 입고 칼을 차게 할 정도였으며 헌병이 경찰업무를 담당하는 헌병경찰제도로 집회와 단체운동을 일절 금지하였다 그러던 와중 1919년 1월에 고종황제가 붕어하면서 조선의 민심은 극도로 반일제화되어 갔으며 조선의 한반도 내부에서는 민족반역자 이완용이 일본의 사주를 받아 고종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반일 분위기는 더욱 민심을 자극하게 되었다 3.1운동이 일어난 이유들 일본 제국의 가혹한 식민지배 일제가 한반도에 대한 무단통치를 시작하고 학교에 교사들까지 군복을 입고 칼을 차게 하였으며 일제의 육군 헌병들이 경찰 업무를 담당하는 헌병경찰제도를 도입하여 집회와 단체운동을 금지시켰고 .. 밀리터리 2016. 10. 15. 더보기 ›› 3.1 만세운동이 끼친 영향들 1919년부터 1920년까지 일제강점기의 한반도와 전 세계에 걸쳐 있는 한인 밀집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으로 삼일 만세운동, 기미독립운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단 기본적으로 일본 제국의 강제적인 식민통치에 대항한 조선민족의 독립과 자주를 바라는 뜻으로 한민족의 민주주의 시작을 알린 신호탄이라고 볼 수 있다 만세 운동 시작일 : 1919년 3월 1일 시작 장소 :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에 종로 탑골공원 3.1운동 대표조직 : 민족대표 33인, 신한청년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제사회에 일제의 한반도 강제 식민지배화를 알리게 됨 민족대표 33인의 독립 선언문으로 3.1운동이 전개되자 대표적인 한인 1세대인 도산 안창호가 이끌고 있는 대한인 국민회는 자신들이 거주하고 있는 미국 LA (Los Ange.. 밀리터리 2016. 10. 1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