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차세계대전10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연합국을 상대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될 경우 연합국은 미국, 한국, 일본, 영국 등을 중심으로 연합국으로 구성될 것같습니다. 그렇다면 미국 동맹국인 연합국을 상대하는 국가들은 어디일까요?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연합국을 상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중국은 '개혁개방'을 통해 급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군사강국으로 거듭났습니다. 특히 중국은 2017년 기준 세계 3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군에서 근무하는 상비군의 수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통계되었는데요. 중국은 사회주의권 국가로 3차세계대전을 일으키거나 발발하게 될 경우 미국의 반대편으로 서서 참전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몇 차례 전쟁을 진행했지만 패배했고 파키스탄은 .. 밀리터리 2018. 2. 14.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주요 연합국은 어느 국가가 될 것인가? 인류는 2번에 걸친 세계대전을 경험하면서 발전에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또한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시대를 거쳐 21세기에 도달했는데요.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주요 연합국은 어디가 될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미국은 인류 역사 상 가장 강력한 영향력과 군대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로 연합국의 수장 자리를 담당 할 국가입니다. 또한 미국은 전 세계에 미군을 파병하여 전 세계의 평화를 유지하고 '3차세계대전'을 방지하고 있는데요. 미국은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연합국의 수장으로써 활약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인도 인도는 세계 3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로 최근 중국과의 영토분쟁이 발생하면서 친미국가의 이미지가 굳어진 국가입니다. 특히 인도는 중국 티베트 독립운동을 비공식적으로 후원.. 밀리터리 2018. 2. 13.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뻔 했었던 위기 7가지 1950년 대부터 군비경쟁의 발달과 함께 종말을 불러올 미국과 소련사이의 전쟁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고 합니다. 역사적 사건들 중 핵 갈등을 불러올 수 있는 잠재적 시작점으로 생각 되는 사건들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전쟁 (1950. 6. 25~1953. 7. 27)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차지하려는 두 세력간의 전쟁이며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던 공산세력과 UN연합과 미국의 지원을 받던 자본주의 세력의 전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건이 초강대국 간의 전면전으로 확대될거라고 예상하였으며 CBS뉴스의 빌 다운즈 기자는 1951년에 한국전쟁은 제3차세계대전의 시작이다라고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인천에서의 놀라운 상륙작전과 국제연합군과 함께 미군의 합동작전은 자본주의 진영의 한국에서의 승리를 만들어 주.. 밀리터리 2017. 12. 22.
3차세계대전이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이유 1945년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냉전시대를 거쳐 전 세계가 우려하는 3차세계대전은 다행히 발발하지 않았습니다. 3차세계대전이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세계 군사전문가들은 3차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될 경우 핵 전쟁으로 인해 인류가 멸망할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기도 합니다. 그 것은 전 세계 핵 보유국이 작정하고 핵 전쟁을 일으킬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일인데요. 특히 유럽 군사전문가들은 북대서양조약기구인 NATO가 존재하는 이상 3차세계대전은 그 어느 세력도 일으킬 수 없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미국 역시도 전 세계에 병력을 파견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도 3차세계대전의 발발 우려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전 세계는 2차세계대전을 통해 세계대전에 대한 휴율증을 제대로 겪었고 이.. 밀리터리 2017. 11. 6.
변화되어가고 있는 3차세계대전의 가능성 3가지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시대를 거치면서 동북아는 세계3차대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 중동, 동북아를 제외한 지역에서 3차세계대전 발발 징후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점 차 변화되어가는 3차세계대전 발발 가능성 3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vs 인도 국경분쟁 1962년 중국-인도 간의 전쟁 이후 지속적인 국경분쟁을 치루면서 2017년에는 중국과 인도가 국경 분쟁지역에서 군사를 배치해서 대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인도는 티베트의 독립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중국과의 사이가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과 인도는 현재 세계3위, 4위의 군사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가 물러서지 않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전.. 밀리터리 2017.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