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남4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살린 '이치 전투' 이치전투는 1592년 8월 14일에 전라도 진산군과 고산현 경계의 이치고개에서 벌어진 전투입니다. 이치 전투 당시 권율과 황진이 이끄는 1천 명의 조선 관군이 일본군 장수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지휘하는 2천의 일본 왜군에 맞서 승리를 거둔 전투입니다. 이치전투의 승리는 일본군의 최초 전라도 진격 작전을 방어한 전투입니다. 이치 전투의 배경 이치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에 치뤄진 전투로 단 기간에 한양을 점령한 일본군이 선조가 평양으로 피난 한 것에 대해 전쟁이 장기화 될 것을 우려하면서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선에 출정한 일본군 수뇌부는 조선의 곡창지대인 호남 일대를 점령하는 것이 맞다는 판단하였다고 하는데요. 호남 점령 판단 이후 도요토미 가문의 직계 휘하 일본 제6군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에게 .. 밀리터리 2017. 7. 21. 더보기 ›› 대한민국 서울에 호남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이유 대한민국의 수도권이라고 하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통칭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수도권에는 대략 2천 5백 만명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잡혀 있다고 하는데요. 대한민국 수도권에 호남사람들이 많이 사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라도 지방을 통칭하는 단어인 호남은 한국 역사에서도 나라를 구했을 정도로 곡창지대이고 전략적 요충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건국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 영토가 피폐해졌는데요. 또한 이승만 전 대통령의 부정선거로 4.19 혁명이 일어났고 결국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군사정변이 발생하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당선되자 대한민국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파독광부 및 노동자 파견 그리고 국내에.. 실시간 이슈 2017. 7. 11. 더보기 ›› 인조반정에 성공한 서인들이 선정한 임진왜란 4대충신 안녕하세요. 광해군을 쫓아낸 인조반정을 계획한 서인들이 반정에 성공하자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분인 선조실록은 신빙성이 없다는 이유로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했는데요. 인조반정의 승리자인 서인세력이 선정한 임진왜란 4명의 충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 서인들이 기록한 임진사충신 4인 고경명 임진왜란 당시 호남을 대표하는 의병장 충렬공 고경명 장군입니다. 고경명 장군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30일 만에 호남 일대에서 6,700명 가량의 의병을 모집했다고 하는데요. 이후 고경명 장군은 웅치 전투와 금산 전투 당시 조선 관군을 구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금산전투에서 무리한 공격 주장이 무리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호남의 의병세력을 대표하는 의병장입니다. 김천일 임진왜란 당시 김천일 장군은 현재의 전라남도 나주에서 의병을.. 밀리터리 2017. 2. 4. 더보기 ›› 한민족이 이순신 장군을 부르는 호칭 4가지 안녕하세요.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면서 조선 수군 연합함대를 이끌고 불패의 신화를 만든 한민족의 영웅인데요. 이순신 장군의 호칭에 대해 논란이 있지만 한민족들이 이순신 장군을 불렀던 호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민족이 이순신 장군을 부르는 호칭 4가지 좌수사 영감 임진왜란 당시 관직에 있는 무장들에 대해 장군이라고 부르는 호칭은 실례되는 행동이었다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임진왜란을 다루는 드라마에서는 장군 보다는 영감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데요. 당시 조선 백성들을 이순신 장군을 좌수사 영감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통제사 영감 이순신 장군은 조선 조정으로부터 초대 삼도수군통제사라는 직책을 하사받았는데요. 조선의 야사에 의하면 삼도수군통제사 직책을 하사받은 이후로는.. 밀리터리 2017. 2. 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