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민족4 한민족이라는 말은 어떻게 생기게 되었을까? 한민족이라는 단어는 동북아시아 한반도에 살고 있는 민족을 분류하는 단어로 불리고 있습니다. 한민족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부르는 단어인 '한민족'이라는 말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민족의 역사적 기원을 알아보려면 한반도 고대국가가 존재했던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합니다. 한민족은 3개 종족이 하나의 민족으로 형성되면서 불리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고대 한반도는 북방의 예맥족, 맥족과 남방의 한족이 있었고 이들은 대부분 고구려, 백제, 신라에 살았던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물론 중국이나 일본에서 한반도로 건너오면서 터를 잡은 민족도 존재한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 맥, 한이라는 3개의 종족은 인구면에서 한반도 거주자들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주류'였다고 볼 수 .. 실시간 이슈 2018. 3. 22. 더보기 ›› 중국 동북부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한민족의 용장 7인 한민족의 역사는 고조선을 시작으로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 그리고 대한민국까지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 동북부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한민족의 용장 7인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발해 무왕 발해 무왕은 발해 2대 국왕으로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맏아들입니다. 발해 무왕은 국왕 즉위 이후 직접 친정(왕이 직접 정벌)을 떠났고 무예 또한 뛰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국내 역사학자들은 발해 무왕이 여러 말갈족을 복속시키는데 있어 중국 왕조국가들도 다루기 까다롭다는 흑수말갈을 상당 수 복속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발해 무왕은 중국 동북부에 걸쳐 있던 말갈족을 비롯한 당나라까지 공포에 떨게 만든 한민족의 용장이라고 합니다. 연개소문 연개소문은 고구려 말기 당시 고구려의 재상으로.. 밀리터리 2018. 2. 26. 더보기 ››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이 한민족에게 끼친 영향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는 미 해군기지인 진주만을 기습공격하면서 수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 여론은 전쟁 참여를 해야한다는 여론이 거세지면서 미국은 연합국측으로 전쟁에 참여하게되었습니다. 결국 미국의 참전은 연합국이 유럽전선을 포함하여 태평양 전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결정적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일제는 '포츠담 선언' 이행을 따르지 않고 미국에게 대항하다가 인류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원폭을 맞을 국가가 되었습니다. 2번의 원폭과 수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자 일본은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패망하게 되었습니다. 일제의 패망은 일제의 식민지배를 받았던 한반도가 독립하는 결정적인 사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한반도는 일제로부터 해방 된 이후 남한에는 미군정이 북한에는.. 밀리터리 2017. 5. 17. 더보기 ›› 한민족 역사상 엄청난 영향을 끼친 7번의 대위기들 대한민국 역사에는 여러가지 위기들이 존재하지만 대표적으로 7가지 사건들을 뽑아봤습니다. 한국 역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던 한민족의 대위기들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민족 역사상 엄청난 영향을 끼친 7번의 대위기들 나당전쟁 (670년 ~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전쟁의 마지막 파트로 불리고 있는 나당전쟁은 신라와 고구려 부흥군 연합이 중국 요동일대를 선제공격으로 시작된 신라와 당나라 간의 전쟁입니다. 나당전쟁의 원인으로는 당나라의 한반도 직할영토화 정책과 신라의 삼국통일정책이 정면으로 충돌 한것으로 역사학자들은 판단하고 있는데요. 당시 당나라는 최전성기를 맞이한 동아시아 역사상 최강국이었지만 신라는 막 전쟁을 끝낸 약소국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백제 부흥세력, 고구려 부흥세력이 신라와 손을 잡으면서 나당전쟁은.. 밀리터리 2017. 3. 1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