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주성8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승리 10가지 한국의 전쟁사를 살펴보면 고구려 영양왕 시대와 발해 무왕을 제외하면 중국 영토르르 선제 공격한 사례는 거희 찾아 볼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한국 전쟁사에서 가장 위대한 승리 10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명량해전 (임진왜란) 정유재란에 포함되는 해전으로 울둘목이라는 지형을 이용하여 왜선을 막은 해전이며 현재까지도 의문점이 많이 남아있는 해전입니다. 이 전투의 지휘관은 이순신이며 당시 수군병력이 이순신 장군을 신임했다는 결정적인 증거도 되는 해전입니다. 한산도 대첩 (임진왜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남해안을 장악하게 된 결정적인 해전으로 임진왜란 3대 대첩으로 꼽히기도 하는 해전입니다. 한산도 대첩에서 조선 수군이 펼친 전법은 학익진으로 전라좌수영의 함대가 아닌 조선수군의 함대가 연합하여 왜선.. 밀리터리 2017. 5. 2.
인조반정에 성공한 서인들이 선정한 임진왜란 4대충신 안녕하세요. 광해군을 쫓아낸 인조반정을 계획한 서인들이 반정에 성공하자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분인 선조실록은 신빙성이 없다는 이유로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했는데요. 인조반정의 승리자인 서인세력이 선정한 임진왜란 4명의 충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 서인들이 기록한 임진사충신 4인 고경명 임진왜란 당시 호남을 대표하는 의병장 충렬공 고경명 장군입니다. 고경명 장군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30일 만에 호남 일대에서 6,700명 가량의 의병을 모집했다고 하는데요. 이후 고경명 장군은 웅치 전투와 금산 전투 당시 조선 관군을 구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금산전투에서 무리한 공격 주장이 무리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호남의 의병세력을 대표하는 의병장입니다. 김천일 임진왜란 당시 김천일 장군은 현재의 전라남도 나주에서 의병을.. 밀리터리 2017. 2. 4.
한국인들이 존경하는 군사 지휘관 8인 한국 전쟁사를 살펴보면 한국인들은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고 지배당했던 국가인데요. 그 중에서도 외세의 침략에 대응하여 큰 승리를 이룩하거나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으로 인해 현대의 한국인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들이 있습니다. 한국인들이 존경하는 군사 지휘관 8인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1952년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사로 남해안을 장악하면서 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왜군이 두려워했던 조선의 수군 제독입니다. 대표적인 전투로는 한산도 대첩, 명량 대첩 등이 있으며 현대 한국인들이 제일 존경하는 위인 중 한명입니다. 막리지 을지문덕 612년 고구려에 침공한 수나라의 대군을 살수(현재의 청천강)에서 수장시켜버린 고구려의 군사지휘관입니다. 중국측 기록에 보면 살아 돌아온 자가 2,700명 뿐이었으며 역사.. 밀리터리 2017. 1. 11.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안녕하세요. 대첩이라는 뜻은 전쟁 중 또는 전투에서 아군이 적을 크게 이겼을 때 쓰는 말로 일반적인 전투보다 높은 단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대전과도 의미가 약간 겹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살수대첩 (612년) 612년 고구려 영양왕 시절 살수(현재의 청천강)에서 고구려 장군인 을지문덕 장군의 주도 아래 이루어낸 대첩으로 2차 여수전쟁의 대표적인 전투 중 하나이며 고구려 원정군 중 2,700명을 제외하고 궤멸당했다고 합니다. 수양제는 2차 고구려침공 이후 3차, 4차 침공을 계속했으나 결국 고구려 정벌에 실패하였으며 무리한 고구려 정벌로 인하여 수나라가 패망하게 되면서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습니다. 귀주대첩 (1019년) 1019년 2월에 고려 강감찬 장군이 이끄는 고려군이 .. 밀리터리 2016. 12. 6.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승리한 6가지 이유 195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년)에 일본 전국시대를 통일한 일본 다이묘 하시바 히데요시가 명나라를 정벌한다는 명분으로 조선을 침략한 전쟁으로 조선, 명나라, 일본 사이에서 일어난 국제전쟁 날짜 : 1592년 5월 23일 ~ 1598년 12월 16일 전쟁명칭 :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쟁장소 : 한반도 일부 교전국 : 조선, 명 VS 일본(왜)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승리한 이유 조선 백성들의 협조로 인한 정보, 첩보전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 수군을 지휘하고 있었던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에 대한 첩보전을 상당히 중요시 했는데 일본 수군의 이동경로라던지 등의 정보를 백성들에게 주로 들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남해안을 장악하여 일본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육지에서는 .. 밀리터리 2016. 10. 25.
반응형